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Music for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Populations.'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유아기 인구의 말하기와 언어발달에 음악이 미치는 영향.'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Knight, A., & Rabon, P. 이며, 학술지 Music Therapy Perspectives, 35(2), 124-130. (2017)에 발행되었다.
결론.
증거기반을 중심으로 하는 음악치료에서는 여러 분야와의 협업이 필요하고 신경과학, 아동학, 언어 병리학, 음악치료의 분야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임상적 접근법과 기술을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증거 기반의 다양한 진단을 배경으로 하여 발달 수준에 따른 임상적 치료법을 창의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각 영역에서 발달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아동의 인지적, 심리사회적 및 감정적 영역에서 면밀히 관찰하고 전반적인 발달에 대해 유의하여 다양한 음악적 개입과 적용을 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연구의 유의미함.
유아기 말과 언어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이며 음악치료사의 증거 기반 접근(SLI 진단기준, 연령에 맞는 의사소통능력, 공식적으로 표준화된 평가 결과의 이해, 아동에게 필요한 치료적 지식)이 치료에 필요한 정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이 필요하므로 신경과학적 연구, 비음악적 연구, 임상 음악치료적 연구의 측면에서 다양한 치료적 접근법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음악치료사가 새롭고 진화하는 연구 결과를 항상 배우고 탐구하고 적용하여서 아동의 참여와 관심의 잠재적인 변화를 평가하고 음악적 자극에 민감하게 관찰하여서 증거기반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