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응용행동 분석 기법과 언어 행동 기법이 포함된 음악치료가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by Musictraces 2024. 5. 30.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Incorporated with Applied Behavior Analysis Verbal Behavior Approach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 응용행동 분석 기법과 언어 행동 기법이 포함된 음악치료가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Lim, H.A., & Draper, E.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48(4), 532-550. (2011)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자폐 아동을 위한 말하기 훈련에서 ABA VB 기법과 음악을 포함한 ABA VB 기법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3~5세 미취학 아동 22명이며 반향어가 있고 말을 하거나 아직 말하기 전인 아동으로써 전문의에 의해 자폐스펙트럼 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이다. 사전-사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2주간 1주에 최소 3일을 음악 또는 말하기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6회기 세션을 진행하였다. 참여자 1명당 4개의 말하기 행동별 각 2개의 목표단어()를 배정하여 음악 훈련 또는 말하기 훈련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훈련을 실시하였다. 음악 훈련에서는 언어적 지침 대신 노래하기로 구성하였으며 연구자가 작곡한 노래를 무반주로 노래하였으며 총 30개의 목표 단어를 노래에 사용하였다. 말하기 훈련에서는 음악 훈련에서 사용된 문장, 지침, 30개 단어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3개의 조건(음악 훈련, 말하기 훈련, 훈련없음)4개의 말하기 행동 조건(요구하기, 명명하기, 따라하기, 대답하기)에 따른 사전-사후 실험에서 각 아동의 목표단어 산출에 따라 연구자가 개발한 VPES 도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집계하였다.

 

결론.

음악 훈련이 자폐범주성 아동의 말하기 훈련에 효과적이었기에 ABA VB기법을 사용한 훈련에 음악치료가 포함되는 것은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음악 훈련에는 따라하기에 말하기 훈련에는 명명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반향어가 대답하기에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여 자폐 아동들의 반향어가 언어 발달에 필요한 하나의 단계로 여겨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요구하기’, ‘명명하기’, ‘따라하기와 반향어 수준 간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의 유의미함.

즉각적인 반향어가 있는 미취학 ASD 아동들은 음악 훈련에 있어서 따라하기에 훨씬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기 때문에 말하기 훈련에 음악을 적용한 중재효과는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 또한 이 연구에서 치료사가 반주 없이 노래로만 음악 중재를 하였는데 반주 또는 다양한 악기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음악적 자극을 통해 음악 중재를 실행한다면 치료적인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ASD 아동들의 말하기 훈련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결국 ABA VB 훈련에 음악을 주요 도구로 사용한다면 ASD 아동의 언어와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임을 기대해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