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유아기 인구의 말하기와 언어발달에 음악이 미치는 영향 (1).

by Musictraces 2024. 5. 31.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Music for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Populations.'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유아기 인구의 말하기와 언어발달에 음악이 미치는 영향.'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Knight, A., & Rabon, P. 이며, 학술지 Music Therapy Perspectives, 35(2), 124-130. (2017)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유아기 집단의 언어, 언어영역에 관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이 정보를 사용하여 집단에 대한 증거기반 접근 방식을 강화할 수 있는 음악치료사에게 치료적 의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이 연구에서 먼저 치료사는 아동의 발달이 어느 정도 수준에서 기능하고 있는지 아동의 발달상태를 이해하고 평가함으로써 표현언어 발달과 지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치료 계획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며 Briggs(2015)를 근거로 주장하고 음악치료에서의 발달 기반 접근 방식을 소개하며 음악치료가 유아기 발달시기에 효과적인 치료 양식이고 표현적 의사소통을 다루는데 효과가 있다고 설명하였다.

음악 인식과 음악 훈련이 신경학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뇌의 구조 및 네트워크 발달에 영향을 미쳐 음악을 처리하는데 다양한 방법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특히 음악교육이 뇌 구조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Zhao & Kuhl(2016)를 근거로 설명하였다. 또한 음악이 감각 및 인지에 영향을 줌으로써 유아기의 언어발달에 중요하거나 민감한 단계에서 신경학적 변화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서술하였다(Patel, 2014).

Trehub & Peretz(2013), Lim(2010), Patel(2008), Tan & Shoemark(2017), Sallat & Jentschke(2015)의 논문들을 인용하여 음악을 개입한 음악치료가 전반적인 언어 지연이 있는 아동의 주의 집중력, 언어적 능력, 인지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서술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