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search Papers136 인생회고를 통한 음악 자서전 프로그램이 초고령 노인의 우울감 개선에 미치는 효과 (2).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인생회고를 통한 음악 자서전 프로그램이 초고령 노인의 우울감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백유신, 김수지이며, 학술지 노인복지연구, 76(2), 9-33. (2021)에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중재 효과 확인을 위해 사전 사후 단축형 우울 척도와 주관적 건강 상태를 측정하였고 실험군의 음악 자서전 활동 과정을 관찰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도는 프로그램의 내용 7개의 문항으로 구성하고 1점에서 5점까지의 리커트 척도를 구성하여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대조군 대상의 음악 활동은 수동적 음악 경험을 제공하였는데 약 20분간 음악 감상을 진행하였다. 결과.인생 회고를 통한 음악 자서전 프로그램을 중재에 참여한 실험군 대상자의 우울감 수준이 유의하게.. 2024. 6. 14. 인생회고를 통한 음악 자서전 프로그램이 초고령 노인의 우울감 개선에 미치는 효과 (1).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인생회고를 통한 음악 자서전 프로그램이 초고령 노인의 우울감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백유신, 김수지이며, 학술지 노인복지연구, 76(2), 9-33. (2021)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80세 이상 초고령 노인을 대상으로 본인에게 의미가 있는 곡을 직접 선곡하고 개별 세션으로 진행하여 자전적 기억을 심층적으로 회고할 수 있도록 하며,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과 주관적 건강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1) 참가자본 연구의 참가자는 치매 및 신체적 정신적 제약으로 인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없으며 시력과 청력이 일상생활에 큰 문제가 없는 80세 이상의 노인 21명이다. 실험군은 11명,.. 2024. 6. 13.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2).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조수진이며, 학술지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6(1), 89-110. (2016)에 발행되었다. 결론.본 연구의 결과에서 모든 참여자는 중재 활동 이후 상호작용 시도행동, 반응행동의 목표 행동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다가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유지 구간 동안에는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상호적 악기 연주 중재가 ASD 성인의 상호작용 시도 행동과 반응행동 증가에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사회적 상호작용 시도행동에 비해 사회적 상호작용 반응행동의 증가폭이 더 컸으며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유지기간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2024. 6. 12.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1).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조수진이며, 학술지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6(1), 89-110. (2016)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자폐범주성장애 성인들을 대상으로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발달장애 주간보호센터에 소속된 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 거주하는 20대 후반 자폐범주성장애 1급 성인 남성 3명으로 자폐행동체크리스트(ABC) 5가지 항목 중 ‘관계’ 항목의 점수가 높은 이용자로서 자리이탈 가능성이 낮은 3명의 성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설.. 2024. 6. 11. 이전 1 2 3 4 5 6 7 8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