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esearch Papers136

음악 치료 기반 중재 프로그램이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기술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1).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The effect of a music therapy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improving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ocial skills deficits.'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음악 치료 기반 중재 프로그램이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기술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Gooding, L. F.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48(4), 440-462. (2011)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음악치료 기반 중재 프로그램이 사회 기술 결핍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기술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2024. 6. 6.
부정 감정 프로세스가 GIM에서 신경 활성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활용 연구 (2).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Neural activations of Guided Imagery and Music in negative emotional processing: A functional MRI study.'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부정 감정 프로세스가 GIM에서 신경 활성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활용 연구.'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Lee, S. E., Han, Y., & Park, H.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3(3), 257-278. (2016)에 발행되었다. 결과.M> GIM 활성화된 신경 영역이 유의하게 발견되지 않았고, GI > GIM 시각 처림, 청각 처리 및 언어 이해와 관련된 영역에서 신경 활성화가 증가되었지만 감정 및.. 2024. 6. 5.
부정 감정 프로세스가 GIM에서 신경 활성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활용 연구 (1).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Neural activations of Guided Imagery and Music in negative emotional processing: A functional MRI study.'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부정 감정 프로세스가 GIM에서 신경 활성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활용 연구.'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Lee, S. E., Han, Y., & Park, H.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3(3), 257-278. (2016)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본 연구는 GIM 프로세스를 통해 개인의 일화적 기억이 회상되고 재경험될 때 부정적인 감정 처리를 위한 GIM의 신경 메커니즘을 입증하기 위해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2024. 6. 4.
드럼 두드리기와 사회 기술 : ASD 아동을 위한 리듬 매개 음악치료 개입 적용 (2).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Dyadic drum playing and social skills: Implications for rhythm-mediat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드럼 두드리기와 사회 기술 : ASD 아동을 위한 리듬 매개 음악치료 개입 적용.'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Yoo, G. E., & Kim, S. J.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5(3), 340-375. (2018)에 발행되었다. 결론.연구2의 모방과제(K-SSRS) 결과는 협력, 자기통제, 총점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ASD 아동은 모방 사후 검사에서 약간의.. 2024.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