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악 치료 서적30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10)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김수지 저 제 5장. 언어재활에서 음악의 치료적 적용 1. 언어재활을 위한 음악치료 내 주요 개념 - 말과 음악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인산행동의 결과물이지만 실행을 위해서 순서화된 체계를 거쳐 산출의 과정이 이루어지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구조화된 음악리듬은 일정한 패턴과 반복적 구조, 이에따른 예측성을 가지고 있으며 말산출시 타이밍 및 말속도 등을 조절하게 할 수 있어 치료도구로서 적절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신경언어장애에 접근하기 위한 노래 부르기 등 치료적 음악구성은 재활이라는 특수목적을 위한 기능적 접근에 기반하기 때문에 일반적 선호나 친숙성보다는 치료원리와 기능재활의 목적이 우선시 되어야한다. 노래를 부를 떄 일정 길이의 음을 연속적으로 산출해야 하기 때문.. 2025. 2. 16.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9)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김수지 저 제 4장. 운동재활에서 음악의 치료적 적용 2. 운동기능 기선을 위한 음악치료5) RAS의 적용: 리드믹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일돤되고 안정적인 박을 가진 음악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대칭적이고 안정적인 움직임을 확보하기 위해 2박 혹은 4박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템포는 보행 분속수를 통해 측정된 bpm을 적용한다. 음악의 구성요소들이 보행안정성에 도움이 되어야 함. 음악적 고려사항은 첫째로 베이스라인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둘째, 구성하는 화음의 전개가 너무 넓지 않은 중간정도의 음역대에서 진행되도록 한다. 내담자의 선호곡, 기존 곡을 활용하는 경우 일정한 박이 강조되지 않는 곳이거나 당김음 등이 많은 불안정한 구조의 곡일 경우 4박 .. 2025. 2. 12.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8)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김수지 저 제 4장. 운동재활에서 음악의 치료적 적용1. 운동재활을 위한 음악치료 내 주요 개념 리듬동조화: 음악이 외부자극으로서 신체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분명한 결과물은 리듬동조화이다. 이는 신체 움직임의 범위와 타이밍이 어떻게 리듬에 맞추어 변화하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원리로 음악치료에서는 기본적으로 리듬과 신체 동조화에 초점을 맞춘다. 신경학적 음악치료에서의 리듬동조화는 리듬이라는 음악의 시간적 구조가 움직임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으로 청각 리드믹 신호에 의해 신체반응 동조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외부에서 리드믹한 음악이 들리면,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신체 움직임 패턴에 맞춰지고 지속적으로 움직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음 움직임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음.. 2025. 2. 7.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7)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김수지 저 제3장. 신경재활음악치료 대상군의 이해2. 기능영역별 주요 증상의 이해운동기능장애상지기능장애의 주요 증상: 경직, 이완, 진전보행장애: 보행주기, 흔히 관찰되는 병적 보행(병적 보행의 종류: 뻗정다리 보행, 실조성 보행, 파킨슨 보행실행증: 말초신경계릐 운동 및 감각 손상이나 마비가 없고 동기의 결핍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목적이 있는 움직임을 수행하지 못하는 장애이다. 실행증 환자들은 과제 수행 속도가 불규칙하고, 협응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몸의 일부를 물건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언어기능장애언어의 생리학적 처리 과정신경언어장애: 신경언어장애는 선천적 혹은 후천적인 원인으로 신경계가 손상되어 생기는 언어장애로 말산출과 문자, 언어까지 포함하여 문제가 나타난다. .. 2025. 2. 5. 이전 1 2 3 4 5 6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