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 치료 서적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9)

by Musictraces 2025. 2. 12.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

김수지 저

 

4. 운동재활에서 음악의 치료적 적용

 

2. 운동기능 기선을 위한 음악치료

5) RAS의 적용:

리드믹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일돤되고 안정적인 박을 가진 음악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대칭적이고 안정적인 움직임을 확보하기 위해 2박 혹은 4박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템포는 보행 분속수를 통해 측정된 bpm을 적용한다. 음악의 구성요소들이 보행안정성에 도움이 되어야 함.

음악적 고려사항은 첫째로 베이스라인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둘째, 구성하는 화음의 전개가 너무 넓지 않은 중간정도의 음역대에서 진행되도록 한다.

내담자의 선호곡, 기존 곡을 활용하는 경우 일정한 박이 강조되지 않는 곳이거나 당김음 등이 많은 불안정한 구조의 곡일 경우 4박 형태의 리듬으로 재구성하는 편곡작업이 필요하다. 지각적으로 음악의 원곡이 느껴지면서 리드믹 신호가 안정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중요. 보행속도와 원곡속도가 유사한지 확인하고 주요음이 정박에서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지나치게 복잡한 화성은 보행신호의 역할로서 심리적 불안을 유발하지 않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패턴화된 감각증진

: 운동재활에서 다양한 신체 움직임을 목표로 적용되는 패턴화된 감각증진(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PSE)와 치료적 악기연주( TIMP)RAS와더불어 신체재활에 적용되는 주요 기법이다. RAS가 주기적 움직임에 초점을 맞춰 리듬동조화를 기반으로 재활을 도모하는 반면, PSETIMP는 보다 다양한 음악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음악치료에 활용을 폭넓게 적용가능.

PSERAS개념의 확장을 기반으로 하는데 RAS는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움직임에 적용되는 리드믹 신호가 기본 원리이다. 반면 PSE는 일정한 수서의 복잡한 움직임을 하나의 패턴으로 만들어주고 움직임 촉진을 위한 다양한 음악요소를 사용해 움직임 패턴 전체에 신호를 제공한다. PSE적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음 음악에 맞춰 움직이는 것이 나이라 움직임에 맞춘 음악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음악치료사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기술이 움직임에 대한 관찰 기술이다.

움직임의 공간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음악적용, 공간큐에서 쓰는 음악요소는 음고, 음량, 음길이, 화성.

속도큐로 사용하는 음악요소는 템포, 박자, 구조.

힘의큐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음악요소는 음량과 화성.

PSE의 치료적 메커니즘: 음악동조화를 통해 청각-운동기능 간 연합이 유도되고, 리듬과 더불어 다양한 음악요소가 광범위한 뇌영역 활성화를 유도. 특정 움직임에 맞춰 시간, 공간, 힘의 큐를 음악에 반영함으로써 움직임 신호에 대한 점화 작용뿐 아니라 전체 움직임 구간에 대한 타이밍 신호가 제공된다. 모든 움직임을 음악피턴에 반영하는 PSE기법은 다소 복잡한 수준의 움직임에 대한 재활을 위해 구성되며 음악치료에서 음악의 고유성이 특히 강조되는 기법이다.

 

치료적 악기연주(TIMP)

: 악기를 통해 목적화된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움직임의 시작과 끝에 대한 정확한 타이밍 신호를 얻을 수있는 특성. 보다 능동적으로 내담자 스스로 악기연주에 참여함으로써 청각적 피드백을 발생시키고 움직임을 유도한다.

치료적 악기연주를 할 때 가장먼저 신체재활의 필요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악기와 연주방법을 결정한다. 악기연주가 성공적으로 이뤄지고 충분히 반복연주가 가능해지면 악기위치나 음악요소의 변형 등을 통해 운동과제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치료메커니즘: 감각운동 동조화. 감각-청각 신호가 움직임과 하나를 이루는 감각운동 동조화는 움직임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소리가 하나의 피드백이 되고 청각 피드백이 자신의 운동감각에 동조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TIMP는 자신의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을 자신이 연주하는 음악소리로 받기 때문에 음악치료사가 어떤 수준의 반주를 할 것인지 어떻게 연주를 구조화 할 것인지가 치료효과를 유도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다.

TIMP의 역할 중 첫번째는 특정한 기능적 일상생활 움직임에 대한 연습에 음악적 결과물이 연결되어 움직임의 활성화를 돕는 역할을 한다. 둘쨰, 악기연주를 통한 음악적 피드백이 자신의 움직임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을 높여 더 많은 과제행동 수행과 높은 수준의 과제참여를 유도하는 것.

전통적인 악기연주에서 고난이도의 소근육, 대근육 활용이 주를 이룬다면 비전통적인 악기연주에서는 내담자의 상태에 따라 연주방법을 바꿀 수 있고 악기 자체에 대한 어느정도 변형도 필요하다.

TIMP에 주로 적용되는 음악요소는 박과 구조, 악센트, 템포, 음고가 있다. 청각적 피드백이 감각운동 동기화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악센트를 활용하여 본인 연주시 사용된 움직임과 힘에 대한 청각적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악기연주 과정에서 내담자가 노래부르기를 시도할 경우 내담자의 뇌손상 정도에 따라 노래부르기를 제공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치료사의 판단이 필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