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자폐증 아동의 감각운동 제어에 리듬이 가지는 역할 (10).

by Musictraces 2024. 2. 28.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 Considering rhythm for sensorimotor regul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자폐증 아동의 감각운동 제어에 리듬이 가지는 역할.'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LaGasse, A. B., & Hardy, M. W. 이며, 학술지 Music Therapy Perspectives, 31, 67-77. (2013)에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

1) 치료적 고려사항

이 연구의 초점은 리듬에 집중되어 있다. 예측에 도움이 되는 자극으로서 리듬은 운동 치료를 위한 음악을 계획할 때 주요 고려 사항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음악적 속성도 움직임의 범위와 힘을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학을 사용하여 움직임의 힘을 표시할 수 있고, 피치의 범위는 움직임의 크기에 대한 청각 신호를 제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노래 자극의 추가는 리드미컬한 운동에 대한 참여와 동기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음악치료 임상의는 운동의 신호를 주기 위한 리듬의 기능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녹음된 음악은 ASD를 가진 사람에게 외부 자극을 제공하는 구조화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지만 치료사가 제공하는 라이브 음악은 내담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음악을 순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내담자가 운동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기 위해 음악적 자극을 조정하고 수정하는 능력은 이러한 유형의 치료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고유한 자격을 갖춘 음악 치료사를 만든다. 음악 치료사는 또한 음악이 움직임을 동반하는 것이 아니라 촉진하는 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목표는 리듬이 움직임에 기능적인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고 자극이 패턴을 동반하고 최적화하는 피드 포워드 시스템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다음은 ASD가 있는 아동의 운동 움직임을 위한 음악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ASD가 있는 아동과 관련된 임상 사례이다.

 

2) 임상 사례

대상: 클라이언트는 낮은 톤 및 운동 장애로 ASD 진단받은 활동적인 7세 소년이다. 그는 음악에 의한 동기 부여와 운동 구성, 조정 및 운동 과제 완료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음악 치료에 참여하게 되었다. 클라이언트는 작업 치료를 받고 있었고 운동 목표를 향한 진전이 느린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클라이언트는 모방 기술, 힘 및 톤, 조정력 부족, 터치 프롬프트 없이 중앙선을 넘을 수 없음, 운동 계획(, 공을 잡기 위한 준비)의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고찰.

비록 MR도 구조화된 템플릿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치료사에 의해 연주되는 라이브 음악은 여러 방면에서 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치료사는 내담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짧은 시간에 조정할 수 있는 라이브 음악을 연주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