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자폐증 아동의 감각운동 제어에 리듬이 가지는 역할 (9).

by Musictraces 2024. 2. 27.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 Considering rhythm for sensorimotor regul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자폐증 아동의 감각운동 제어에 리듬이 가지는 역할.'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LaGasse, A. B., & Hardy, M. W. 이며, 학술지 Music Therapy Perspectives, 31, 67-77. (2013)에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

1) ASD의 운동 결함에 대한 리듬

Fabbri-Destro et al. (2009)ASD가 있는 아동이 전반적인 운동 능력이 부족함과 이들이 각 동작을 순서대로 독립적으로 완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반적인 어린이는 무게를 들어 올리는 데 필요한 자세제어(피드 포워드 반응)를 예상한 반면, ASD 어린이는 소뇌의 차이로 인해 자세 제어를 유지하기 위해 움직임을 늦추고 고유 수용 정보(피드백 반응)를 이용했다. 리듬 신호가 인공적인 고유수용성 조절을 확립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몇 가지 증거를 살펴보면, 보철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리듬 신호를 통해 인공적인 고유 수용성 제어를 개발했음을 보여주었다(Ghez et al., 2000; Gonzalez et al., 2010). 이러한 연구에서 리듬 신호는 피드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운동 패턴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타이밍 정보를 제공한다. 이 증거는 리듬이 움직임을 조절하는 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여 새로운 운동 패턴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리듬 신호는 피드백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줄이기 위한 조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리듬 신호만으로도 운동 패턴을 완전히 개발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리듬 동조는 청각 경로를 통해 자극을 운동 시스템으로 직접 통합하는 것을 포함하며, 치료적용이 운동 패턴의 조직 및 실행을 위한 예측 가능한 템플릿을 제공하기 위한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을 만든다(Zatorre et al., 2007). 리드미컬한 청각 신호는 신경계 질환이 있는 사람이 상지와 하지의 안정적인 운동 패턴을 확립하도록 돕기 위해 재활에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뇌졸중 환자의 보폭 대칭, 보폭 및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리드미컬한 큐 중재가 사용되었다(Thaut et al., 1997). ASD를 가진 사람은 운동 조정, 움직임 시작 및 숙련된 작업 완료를 포함하여 리드미컬한 타이밍 단서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운동 결함을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외부 리듬 신호를 부과하면 기능개선에 필요한 예측 가능성과 타이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고찰.

리듬을 포함한 타이밍 단서는 운동 결함을 보여주는 ASD를 가진 사람에게 움직임의 시작, 운동의 조정 그리고 숙련된 작업을 완료하는데 베네핏을 제공한다. 또한 리듬 신호 만으로도 운동 패턴을 확립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