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 변화를 위한 패턴화된 감각증진(PSE) 음악 적용 연구. '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김보연, 여명선, 김수지이며, 학술지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2(4), 257-274. (2019)에 발행되었다.
결과.
1) 과제 조건 별 대상자 상지기능 수행력
모든 움직임에서 PSE 음악 적용 시 무음악 조건과 비교하여 차이가 나타났다.
어깨 관절 굴곡 ROM(관절가동범위) 측정 결과, PSE 음악 제공에 따른 움직임 수행력은 사전 무음악 조건에 비해 6° 이상 증가하였고 단순 및 복잡 PSE 음악 간의 차이는 1° 미만이었다. 사후 무음악 조건에서 ROM을 측정한 값은 사전에 비해 약 8° 낮게 기록되었다. 팔굽관절 신전 ROM 측정 결과, PSE 음악을 들으며 수행할 때 사전 무음악 조건에 비해 10° 이상의 증가된 차이를 보였는데 단순 PSE 음악을 들으며 수행할 때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다. 아래팔 회외 ROM 측정 결과, 복잡 PSE 음악 조건에서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PSE 음악 조건이 무음악 조건에 비해 7.5° 이상의 증가된 ROM 평균값을 얻었다. 손목관절 신전 ROM 측정 결과, PSE 음악을 제공 했을 시 ROM은 10° 이상 증가하였고 음악의 복잡성이 클수록 ROM 수행력도 높게 측정되었다. 장악력 값은 무음악 조건에 비해 모든 PSE 음악 조건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복잡 PSE 음악에서 수행력 값이 1kg 정도 크게 기록되었다.
2) PSE 음악 제공의 사전사후 및 조건별 움직임 수행력 변화
PSE 음악의 제공의 사전사후로 측정된 모든 상지 움직임 수행력을 평가 및 비교한 결과 어깨관절 굴곡 수행에서 사전과 사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다른 과제에서는 유의한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
3) 조건에 따른 대상자의 상지기능 수행력의 차이
모든 상지 움직임 별로 Mauchly의 W 구형성 검정을 통해 등분산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5가지 움직임 별로 사전 무음악, 단순 PSE 음악, 복잡 PSE 음악 등의 조건으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움직임 별로 측정된 값을 .05의 유의수준으로 분석한 결과, 개체 내 효과 유의 확률은 .002 이하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