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색과 음악 빠르기 자극이 정상아동의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3).

by Musictraces 2024. 6. 27.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 색과 음악 빠르기 자극이 정상아동의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유병규, 김경, 황재수이며, 학술지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3(1), 1-9. (2005)에 발행되었다.

 

결과.

2) 음악자극

음악의 빠르기에 따른 최대동요속도

일반 환경, 느린 음악, 빠른 음악에서 정적 균형 측정 시 최대동요속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ean±S.M.E를 실시한 결과 음악의 빠르기에 따른 최대동요속도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빠른 음악에서의 최대동요속도는 느린 음악과 일반 환경에서 보다 조금 더 빨랐다.

 

음악의 빠르기에 따른 평균균형

일반 환경, 느린 음악, 빠른 음악에서 정적 균형 측정 시 평균균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Mean±S.M.E를 실시한 결과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색채자극에 따라 동요면적, 동요길이, 최대동요속도, 평균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그러나 정적 균형에 안정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색채의 순서는 녹색, 일반 환경, 빨간색, 그리고 노란색 순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빠른 템포와 느린 템포의 음악 빠르기 청각자극에 따라 동요면적, 동요길이, 최대동요속도, 평균 균형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음악의 빠르기를 이용한 청각자극에서 정적 균형에 안정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자극의 순서는 느린 템포 음악, 일반 환경, 빠른 템포 음악 순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녹색과 느린 템포의 음악이 정상 아동의 정적 균형에 가장 긍정적이고 안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할 수 있다. 아동 환자를 치료할 물리치료실에는 환자의 균형 능력 및 안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색채자극과 음악 빠르기에 따른 청각자극 등과 같은 감각정보들을 치료환경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연구의 유의미함.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녹색과 느린 템포 자극을 응용한다면 아동 환자 및 더 나아가 장애 아동들의 정적 균형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치료 환경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