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 색과 음악 빠르기 자극이 정상아동의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유병규, 김경, 황재수이며, 학술지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3(1), 1-9. (2005)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정상 아동들에게 다양한 감각정보 중 시각에서의 색채자극과 음악 빠르기를 이용한 청각자극 차이에 따른 감각정보들이 정적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 연구에서 참여자는 시각 및 청각에 장애가 없으며 연구 취지를 이해하고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6-7세 남, 여 정상 아동 20명이다. 3일간 예비실험 후 보완점을 수정한 후 본 실험을 7일간 실시하였다. 감각 정보 중에서 색채의 자극과 청각자극(음악 템포의 자극)으로 구성되었다.
1) 실험도구
색채 자극은 각각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커튼으로 둘러싼 가로, 세로 4m 공간을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청각 자극은 MㆍM=144, MㆍM=72의 빠르기로 녹음한 피아노 연주곡을 사용하였다. 정적 균형은 BPM을 통해 측정되었다.
2) 실험절차
일반 환경, 색채자극에 따른 환경, 음악빠르기 청각자극에 따른 환경 조건하에 정적 균형능력을 측정하였으며 2회 연속 측정값을 얻은 후 평균값을 측정 자료로 사용하였다. 일반 환경에서의 정적 균형 측정에서는 정적 균형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환경에서 이루어졌고 색채자극에 따른 정적 균형 측정에서는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공간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음악 빠르기 청각자극에 따른 정적 균형 측정에서는 음악의 템포만을 변화(메트로놈 72, 144)시켜 녹음한 피아노 음악을 3분씩 들려주며 측정하였다.
3) 분석방법
SPS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색깔 자극과 음악 빠르기에 따른 정적 균형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이 사용되었으며, Mean±S.M.E(평균표준오차)를 실시하였고 결과의 통계적 유의 수준은 0.05로 결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