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색과 음악 빠르기 자극이 정상아동의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2).

by Musictraces 2024. 6. 24.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 색과 음악 빠르기 자극이 정상아동의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유병규, 김경, 황재수이며, 학술지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3(1), 1-9. (2005)에 발행되었다.

 

결과.

1) 색채자극

색채자극의 변화에 따른 동요면적

일반환경, 빨간색, 노란색, 녹색에서 정적 균형 측정 시 동요면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ean±S.M.E를 실시한 결과 색채 자극 변화에 따라 동요면적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노란색 자극에서 동요면적이 가장 컸고 녹색 자극에서 동요면적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색채자극 변화에 따른 동요길이

일반환경, 빨간색, 노란색, 녹색에서 정적 균형 측정 시 동요길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ean±S.M.E를 실시한 결과 색채 자극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노란색에서 동요 길이가 가장 길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빨간색, 일반 환경, 녹색 순서로 나타났다.

 

색채자극의 변화에 따른 최대동요속도

일반환경, 빨간색, 노란색, 녹색에서 정적 균형 측정 시 최대동요속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ean±S.M.E를 실시한 결과 최대동요속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빨간색, 노란색, 일반환경 순서로로 미세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녹색에서 최대동요속도가 가장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색채자극의 변화에 따른 평균균형

일반환경, 빨간색, 노란색, 녹색에서 정적 균형 측정 시 평균균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ean±S.M.E를 실시한 결과 색채 자극 변화에 따라 평균균형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녹색이었을 때 정적 균형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2) 음악자극

음악의 빠르기에 따른 동요면적

일반 환경, 느린 음악, 빠른 음악에서 정적 균형 측정 시 동요면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ean±S.M.E를 실시한 결과 음악의 빠르기에 따른 동요면적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빠른 음악에서의 동요면적이 가장 컸고 이어서 느린 음악과 일반 환경에서 작은 동요면적이 일어났다.

 

음악의 빠르기에 따른 동요길이

일반 환경, 느린 음악, 빠른 음악에서 정적 균형 측정 시 동요길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ean±S.M.E를 실시한 결과 음악의 빠르기에 따른 동요길이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빠른 음악에서의 동요길이가 느린 음악에서의 동요길이보다 길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