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 변화를 위한 패턴화된 감각증진(PSE) 음악 적용 연구. '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김보연, 여명선, 김수지이며, 학술지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2(4), 257-274. (2019)에 발행되었다.
결과.
어깨관절 굴곡, 팔굽관절 신전, 아래팔 회외, 손목 신전 ROM(관절가동범위)에서는 무음악 조건과 단순 PSE 음악, 무음악 조건과 복잡 PSE 음악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단순 및 복잡 PSE 음악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장악력 측정 결과에서는 무음악과 단순 PSE 음악 조건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무음악과 복잡 PSE 음악, 단순 PSE 음악과 복잡 PSE 음악 간에는 각 조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 무음악과 사후 무음악 조건 간에는 어깨관절 굴곡 ROM(관절가동범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이를 제외한 다른 움직임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상지 ROM은 PSE 음악이 있을 때 즉각적 향상 효과를 보였고, 복잡 PSE 음악 조건에서 더 큰 변화가 나타났으나 변화의 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장악력 과제에서는 복잡 PSE 음악을 들었을 때 단순 음악 조건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음악요소의 복잡성이 큰 PSE 음악이 목표 움직임에 대한 충분한 신호가 제공되고 각 음악 요소 간 상호작용을 통해 움직임 연결성이 촉진되어 전체적인 움직임의 수행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아 대상자의 상지 기능 변화에 즉각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측정 항목에 따라 사전-사후 무음악 조건 간 유의하지 않은 결과는 장기적 중재가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재활에 제공되는 PSE 음악 구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유의미함.
본 연구 결과를 통해 PSE 음악(복잡성이 큰 PSE 음악)의 제공은 상지 기능 수행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어깨관절 굴곡 및 팔굽관절 신전 등 다양한 움직임에서 PSE 음악 조건에서의 수행력이 무음악 조건과 비교했을 때 향상된 결과로 인해 음악이 운동 기능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재활에 제공되는 PSE 음악 구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고 더불어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 기능적 향상과 심리정서적 기능 지원이 함께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또한 다양한 음악요소를 활용한 PSE 음악을 제시하여 보다 구체적인 대상자의 신체적, 정서적 반응을 알아보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중재 제공을 해야 할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의 개별적인 특성(개인차)과 반응을 고려하여 맞춤형 음악치료를 계획하고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와 관련하여 후속연구의 시행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