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Musical mnemonics training: Proposed mechanisms and case example with Acquired Brain Injury.'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음악 기억장치 학습 : 후천적 뇌 손상 환자들에게 적용되는 작동원리와 사례 연구.'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Knott, D. 이며, 학술지 Music Therapy Perspectives, 35(1), 23-27. (2017)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기억 처리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고, 기억에 장애가 있는 임상 집단에서 음악 매개 기억 작업에 대한 연구 문헌을 검토하고, 합리적인 과학적 중재 모델을 사용하여 제안된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기억 장애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선행연구를 통해 제시하며 기억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법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였으며 음악은 기억 기술 훈련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고 설명하였다(Thaut, Peterson, McIntosh, & Hoemberg, 2014). 또한 음악을 사용하여 기본 기억 과정을 훈련하고 의미론적 내용을 메모리에 전달하기 위한 강력
한 기반을 제공하며 음악이 기억 기능을 제공하는 신경망의 연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선행연구를 통해 설명하였다.
R-SMM은 음악의 치료 효과를 뒷받침하는 데에 사용되는데 4단계 레벨을 통ㅎ 음악의 치료 효과를 뒷받침하는 메너키즘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향상시키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결론.
기능적 의미론적 기억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Musical Mnemonics Training 구현하는 것 보여주었다. 이것은 멜로디, 리듬 및 harmonic 재료로서 청각 비계 및 패턴화된 정보 처리의 이론적 모델을 기반으로 내구성 있는 구 청크를 만들기 위해 환자와 협력하여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