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 변화를 위한 패턴화된 감각증진(PSE) 음악 적용 연구 (1).

by Musictraces 2024. 7. 1.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 변화를 위한 패턴화된 감각증진(PSE) 음악 적용 연구. '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김보연, 여명선, 김수지이며, 학술지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2(4), 257-274. (2019)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상지 기능에 대해 패턴화된 감각 증진(PSE) 음악의 복잡성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1) 참가자

본 연구의 대상은 10-18세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10명이며 지시 수행과 수의적 움직임이 가능하고 6개월 내 상지 수술 이력이 없는 아동이다.

 

2) 절차

본 연구는 대상자별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방음시설 갖춘 독립공간에서 20분씩 시행하였다. 순서효과 방지를 위해 제비뽑기로 움직임 과제 순서를 정하였고 복잡성에 따라 분류된 2개의 PSE 음악 제공 순서는 일자 다르게 적용하였다. 음악의 복잡성은 리듬, 선율, 화성, 다이나믹 등의 음악요소 활용 정도에 따라 복잡한 정도를 분류하였다. 2개 이상의 음악 요소 반영을 복잡 PSE로 구분하였다. 동일 동작 간에 30, 다음 움직임 전환 전 1분의 휴식 시간을 제공하였다.

 

3)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는 어깨 관절 굴곡, 팔굽관절 신전, 아래팔 회외, 손목 관절 신전의 능동 관절가동범위를 관절각도계로 측정하였고 디지털 악력 측정기를 사용하여 장악력 등 다섯 가지의 동작을 무선순위로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상지평정척도는 뇌성마비 아동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도구로서 측정된 각도에 따라 중도, 중등도, 경도, 이상없음 등으로 분류하였다. 악력계는 장악력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표준화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수행하였다.

 

4) 분석 방법

PSE 음악의 제공의 사전과 사후에 음악이 없는 조건에서 평가된 상지기능 평가값의 평균 및 표준편차 값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피험자내 반복측정설계로 시행, 반복 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통해 제공된 조건별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