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1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3)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김수지 저  3. 재활치료 접근원리재활치료 접근법 1) 신경발달치료(NDT): 중추신경계 기능장애 환자들을 위한 신경생리학적 접든법, 주로 뇌성마비 아동에게 많이 적용. 기본원리는 근긴장도, 반사와 비정상적인 움직임 패턴, 자세조절, 감각, 지각, 기억과 같은 감각운동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추신경계릐 세부손상을 고려하여 정상 수준에 가깝게 운동 수행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기본적인 개념은 움직임 단계를 세부화해서 각 단계별 반복 움직임을 통해 뇌를 학습시키는 것. 2) 강제유도운동치료: 건측 상지를 가용하지 못하도록 팔걸이나 장갑으로 억제하고 손상된 환측 상지만을 이용해 집중적으로 운동 훈련을 시도하는 방법이다. 특히 이 치료법은 뇌졸중 후급성기에 환특을 지속적.. 2025. 1. 24.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2)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김수지 저  2. 신경학적 음악치료 모델 - 신경과학적 중재모델(Rationale-Scientific Mediating Model: R-SMM): 해당 기법이 어떤 근거하에 구성되었는지를 보여 주는 이론적 모델, 음악이 지각되고 산출되는 과정에서 운동, 인지, 언어 영역별로 나타나는 기능적 행동의 연관성에 기반한다. 각 단계별로 체계적인 연구과정이 요구되는데, 음악적 반응모델, 비음악적 병행모델, 임상연구모델의 총 4단계로 구분된다. 첫째로 음악적 반응모델은 음악을 치료적 도구로 사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정보들을 알 수 있게 한다. 둘째, 비음악적 병행모델은 운동, 언어, 인지, 정서 등 목표한 특정 기능영역에서의 신경적, 생리적, 심리적 반응을 연구를 통해 살.. 2025. 1. 18.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1)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김수지 저 제 1장. 신경재활음악치료의 개요 1.신경재활음악치료의 이해 음악치료의 시작점은 개인 경험으로서의 음악이 정서, 감각운동, 인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인간기능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기반으로 한다. 추상적인 하나의 음악경험이 아닌 보다 구체화된 음악행동 수준에서 개인의 기능영역과 연관성을 살펴보고, 음악감상과 같은 수용적 음악경험뿐 아니라 악기연주와 같은 표현적 음악경험을 통해 치료목표로 설정된 기능영역의 변화를 유도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법들이 발전되어 왔다. 신경재활에서의 음악 만들기는 복합적인 음악경험이 궁극적으로 뇌가소성, 즉 악기를 연주하는 경험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뇌 안의 신경학적 연결들에 변화를 만들어 낸다. 악기연주의 경우 악기를 .. 2025. 1. 18.
음악치료 이론과 심상유도 음악치료 실제(3) 음악치료 이론과 심상유도 음악치료 실제임재영, 이주영, 신동렬 지음 심상유도 음악치료 (GIM)의 적용 심리사회 및 정서분야: 일반인은 주로 심리, 정서적인 측면인 우울, 불안, 강박, 적개심, 편집증, 대인관계, 스트레스, 정신 분열로 고통받는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결과 그 효과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의료 분야: 생리적인 변화와 알코올 환자, 강직성 척추염, 고혈압, 류머티즘 관절염, 암환자, 다중 중독환자, 에이즈, 호스피스 환자들에게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중년 여성의 자기실현을 위한 심상 유도 음악치료 1> GIM이 자신의 삶 전반을 돌아보고 현재의 내적 요청과 심리적 문제를 다루고 개선하여 자기실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가 되었다.  중년 여성의 자기실현을 위한 심상 유도 음.. 2025. 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