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2)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김수지 저 2. 신경학적 음악치료 모델 - 신경과학적 중재모델(Rationale-Scientific Mediating Model: R-SMM): 해당 기법이 어떤 근거하에 구성되었는지를 보여 주는 이론적 모델, 음악이 지각되고 산출되는 과정에서 운동, 인지, 언어 영역별로 나타나는 기능적 행동의 연관성에 기반한다. 각 단계별로 체계적인 연구과정이 요구되는데, 음악적 반응모델, 비음악적 병행모델, 임상연구모델의 총 4단계로 구분된다. 첫째로 음악적 반응모델은 음악을 치료적 도구로 사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정보들을 알 수 있게 한다. 둘째, 비음악적 병행모델은 운동, 언어, 인지, 정서 등 목표한 특정 기능영역에서의 신경적, 생리적, 심리적 반응을 연구를 통해 살..
2025. 1. 18.
음악치료 이론과 심상유도 음악치료 실제(3)
음악치료 이론과 심상유도 음악치료 실제임재영, 이주영, 신동렬 지음 심상유도 음악치료 (GIM)의 적용 심리사회 및 정서분야: 일반인은 주로 심리, 정서적인 측면인 우울, 불안, 강박, 적개심, 편집증, 대인관계, 스트레스, 정신 분열로 고통받는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결과 그 효과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의료 분야: 생리적인 변화와 알코올 환자, 강직성 척추염, 고혈압, 류머티즘 관절염, 암환자, 다중 중독환자, 에이즈, 호스피스 환자들에게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중년 여성의 자기실현을 위한 심상 유도 음악치료 1> GIM이 자신의 삶 전반을 돌아보고 현재의 내적 요청과 심리적 문제를 다루고 개선하여 자기실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가 되었다. 중년 여성의 자기실현을 위한 심상 유도 음..
2025.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