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1

뇌졸중 환자의 운동 재활에서의 리듬 청각 신호 : 체계적인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1).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Rhythmic auditory cueing in motor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뇌졸중 환자의 운동 재활에서의 리듬 청각 신호 : 체계적인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Yoo, G. E., & Kim, S. J.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3(2),149-177. (2016)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뇌졸중으로 인한 손상은 개인의 운동 기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움직임의 조정이 감소하고 자발적 움직임 제한, 자세 제어 감소로 이어진다. 이것은 독립적인 이동과 일.. 2024. 1. 24.
젊은 성인의 보행 수행능력에 음악의 특이성이 미치는 영향 (7). 논문 제목 The effects of music salience on the gait performance of young adults. 젊은 성인의 보행 수행능력에 음악의 특이성이 미치는 영향.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De Bruin, N., Kempster, C., Doucette, A., Doan, J. B., Hu, B., & Brown, L. A.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2(3), 394-419. (2015)에 발행되었다. 연구의 유의미함. 본 연구를 통해 음악의 템포와 다른 음향 매개변수는 보행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음악치료에서는 음악의 템포와 음향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환자의 보행을 조절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 2024. 1. 23.
젊은 성인의 보행 수행능력에 음악의 특이성이 미치는 영향 (6). 논문 제목 The effects of music salience on the gait performance of young adults. 젊은 성인의 보행 수행능력에 음악의 특이성이 미치는 영향.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De Bruin, N., Kempster, C., Doucette, A., Doan, J. B., Hu, B., & Brown, L. A.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2(3), 394-419. (2015)에 발행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두드러짐(친숙함과 즐거움)과 템포의 특징에 초점을 맞춰 음악 선택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음악이 보행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의 신체적 반응이 음악의 salience(두드러짐, 특이.. 2024. 1. 22.
젊은 성인의 보행 수행능력에 음악의 특이성이 미치는 영향 (5). 논문 제목 The effects of music salience on the gait performance of young adults. 젊은 성인의 보행 수행능력에 음악의 특이성이 미치는 영향.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De Bruin, N., Kempster, C., Doucette, A., Doan, J. B., Hu, B., & Brown, L. A.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2(3), 394-419. (2015)에 발행되었다. 결과. 1) 연구2(Cue 주파수) 제공된 신호의 주파수는 MET와 MUS 조건에서 참가자들의 선호 보행 주기의 90%, 100%, 110%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즐거움 점수는 90%, 100%, 110%에서 Cue 모드 .. 2024. 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