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Rhythmic auditory cueing in motor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뇌졸중 환자의 운동 재활에서의 리듬 청각 신호 : 체계적인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Yoo, G. E., & Kim, S. J.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3(2),149-177. (2016)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뇌졸중으로 인한 손상은 개인의 운동 기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움직임의 조정이 감소하고 자발적 움직임 제한, 자세 제어 감소로 이어진다. 이것은 독립적인 이동과 일상 활동에 삶의 질을 낮춘다. 뇌졸중의 회복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운동 재활을 위한 조기 개입과 고강도 및 반복적 운동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 외부 신호에 대한 움직임의 동기화를 포함하는 리듬 청각 신호(리듬 소리 신호/자극)는 운동 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재활 접근법으로 입증되었다. 리듬 청각 신호(리듬 소리 신호/자극)는 운동의 예측과 실행을 위한 시간적인 템플릿을 제공하고 청각-운동 상호 작용을 최적화하여 보행, 상지 기능 및 움직임 제어를 향상시킨다. 특히 반복적이고 순환적인 팔 운동에 효과적인데 이러한 분석에서는 리듬 청각 신호가 다른 유형의 재활 접근법과 함께 조사되었으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독립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많지 않다. 리듬 청각 신호의 효과에 대한 증거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연구 및 임상 실습을 위한 치료적인 모델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듬 청각 신호가 뇌졸중 환자의 운동 재활에 미치는 효과를 보행 및 상지 기능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어떤 유형의 리듬 청각 신호가 사용되었는지와 뇌졸중 단계에 따라 치료 결과가 달라지는지를 통해 리듬 청각 신호의 효과를 검토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2014년 10월부터 12월까지 검색이 수행되었다. 1990년부터 2014년까지 출판된 영어 논문들을 전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선별하였다. 사용된 키워드는 인구에 관련된 용어로 뇌졸중, 뇌혈관 장애, 두개내 경색, 두개내 출혈, 편마비를 포함하고 치료 중재 관련된 용어로 음악, 음악 치료, 리듬 신호, 리듬 청각 자극을 포함하였으며 결과에 관련된 용어로 운동 재활, 보행, 걷기, 상지 기능, 상지 운동 기능을 포함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검색 전략은 온라인 보충 자료로 제공되었다. 음악 치료와 관련된 저널들은 수기 검색을 통해 같은 시기에 출판된 음악치료와 관련된 연구를 검색했다. 제목과 초록을 검토한 후 중복된 연구와 명백하게 관련 없는 연구는 제외시켰다. 잠재적으로 관련이 있는 논문의 경우에는 전문을 검색하여 포함 기준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