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1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2).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조수진이며, 학술지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6(1), 89-110. (2016)에 발행되었다. 결론.본 연구의 결과에서 모든 참여자는 중재 활동 이후 상호작용 시도행동, 반응행동의 목표 행동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다가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유지 구간 동안에는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상호적 악기 연주 중재가 ASD 성인의 상호작용 시도 행동과 반응행동 증가에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사회적 상호작용 시도행동에 비해 사회적 상호작용 반응행동의 증가폭이 더 컸으며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유지기간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2024. 6. 12.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1).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조수진이며, 학술지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6(1), 89-110. (2016)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자폐범주성장애 성인들을 대상으로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발달장애 주간보호센터에 소속된 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 거주하는 20대 후반 자폐범주성장애 1급 성인 남성 3명으로 자폐행동체크리스트(ABC) 5가지 항목 중 ‘관계’ 항목의 점수가 높은 이용자로서 자리이탈 가능성이 낮은 3명의 성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설.. 2024. 6. 11.
노래를 통한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자서전적 기억.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노래를 통한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자서전적 기억.'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한승아이며, 학술지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3(2), 49-66. (2016)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본 연구는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환자가 선곡한 노래 조건과 치료사가 선곡한 노래 조건에서 자서전적 기억 회상의 내용, 회상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기분 변화를 측정하여 자서전적 기억회상에 효과적인 노래 조건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본 연구에서는 MMSE-K 점수가 17-24점에 해당되고 시력, 청력에 어려움이 없고 언어적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을 선정하여 2주동안 연구 및 평가하였다. 사용된 노래는 M-MT와 MA-AD를.. 2024. 6. 10.
음악은 자전적 기억을 불러일으킨다.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Music evokes vivid autobiographical memories.'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음악은 자전적 기억을 불러일으킨다.'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Belfi, A. M., Karlan, B., & Tranel, D. 이며, 학술지 Memory, 24(7), 979-989. (2016)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음악과 자전적 기억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고 구체적으로 음악이 생생한 자전적 기억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정도와 자전적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특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악이 기억과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음악이 자전적 기억 회상을 촉진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강조한다. .. 2024.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