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71 유아기 인구의 말하기와 언어발달에 음악이 미치는 영향 (1).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Music for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Populations.'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유아기 인구의 말하기와 언어발달에 음악이 미치는 영향.'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Knight, A., & Rabon, P. 이며, 학술지 Music Therapy Perspectives, 35(2), 124-130. (2017)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이 연구는 유아기 집단의 언어, 언어영역에 관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이 정보를 사용하여 집단에 대한 증거기반 접근 방식을 강화할 수 있는 음악치료사에게 치료적 의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이 연구에서 먼저 치료사는 아동의 발달이.. 2024. 5. 31. 응용행동 분석 기법과 언어 행동 기법이 포함된 음악치료가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Incorporated with Applied Behavior Analysis Verbal Behavior Approach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 응용행동 분석 기법과 언어 행동 기법이 포함된 음악치료가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Lim, H.A., & Draper, E.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48(4), 532-550. (2011)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이 연구는 자폐 아동을 위한 말하기 훈련에서 ABA VB 기법과 음악을 포함한.. 2024. 5. 30. 청각 보조기기 사용자들의 노래 가사 인식 향상을 위한 맥락적 및 시각적 단서 활용 방안 (3).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Using contextual and visual cues to improve sung word recognition in hearing aid users.'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 청각 보조기기 사용자들의 노래 가사 인식 향상을 위한 맥락적 및 시각적 단서 활용 방안.'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Wilhelm, L. A.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20(20), 1-27. (2020)에 발행되었다. 결과.3. 독립 변수와 SU-G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참가자들 사이의 SU-G 점수 차이는 보고된 음악 교육 및 관여 수준과 관련이 있었다. MTIQ 점수가 높은 참가자는 기타 반주와 함께 노래 문장에서.. 2024. 5. 29. 청각 보조기기 사용자들의 노래 가사 인식 향상을 위한 맥락적 및 시각적 단서 활용 방안 (2). 논문 제목.본 연구의 제목은 'Using contextual and visual cues to improve sung word recognition in hearing aid users.'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 청각 보조기기 사용자들의 노래 가사 인식 향상을 위한 맥락적 및 시각적 단서 활용 방안.' 이다. 저자 및 발행.본 논문의 저자는 Wilhelm, L. A.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20(20), 1-27. (2020)에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1) 독순능력 측정Utley 검사 A형을 사용하였으며 SSRT 자극을 녹음한 동일한 여성 보컬의 얼굴을 소리없이 녹화한 비디오를 사용하였다. 최대 125점 중 인식된 단어의 수로 점수를 결정하였다. 2) 음악훈련.. 2024. 5. 28.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