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파킨슨 병 환자들의 말하기와 단어 능력을 향상을 위한 노래 연습 : 타당성 조사

by Musictraces 2024. 1. 31.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Singing exercises for speech and vocal abilities inindividuals with Hypokinetic Dysarthria: A feasibility study.'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파킨슨 병 환자들의 말하기와 단어 능력을 향상을 위한 노래 연습 : 타당성 조사'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Azekawa, M., & LaGasse, A. B. 이며, 학술지 Music Therapy perspectives, 36(1), 40-49. (2018)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파킨슨병(PD)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운동감소형 구음장애로 인한 음성 및 언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신경학적 음악 치료 기술(NMT)을 사용하는 그룹 음악 치료 프로토콜의 타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적용한 예비연구이다. 파킨슨병을 진단받은 5명의 환자(3, 2)를 대상으로 3가지 말하기 활동의 사전 테스트를 수행 후 6주간 50분 그룹 음악치료활동을 하였으며, 이후 사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이때 50세 이후 파킨스병이 발병하고 호앤야척도에서 1-3단계 환자로만 제한하여 진행하였다. Haneishi(2001)가 개발한 음악 치료 음성 프로토콜을 채택하였으며 YingerLapointe(2012)가 배치한 그룹 환경 조건을 사용하였다. 신체준비운동, 호흡운동, 발성준비운동, 노래연습, 발성데이터 분석등을 진행하였다. 이때 VIT(음성억양치료)TS(치료적 노래 부르기) 등을 포함한 NMT 기법을 사용하여 발성기능, 음성 품질, 조음 제어 능력, 지각 분석을 통해 연결된 음성 명료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론.

신경학적 음악 치료 기술(NMT)를 사용하여 파킨슨병 참가자의 최대 발성 시간, 음성 품질, 조음제어에서 약간의 증가와 함께 유지 및 개선이 되었다. Rainbow Passage 읽기 과제를 통한 연결된 음성 명료도 평가 결과, 전체 단어 간 중지 시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의 유의미함.

파킨슨병(PD)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운동감소형 구음장애로 인한 음성 및 언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신경학적 음악 치료 기술(NMT)을 사용하는 그룹 음악 치료 프로토콜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기도 하였지만 여러 제한점이 있었다. Jitter에 대한 데이터는 정규성 가정을 위반했기 때문에 Wilcoxon 테스트를 진행했고 결과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성 품질에 대한 한 가지 측정은 품질 저하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볼 때 파킨슨병은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사람마다 진행 속도가 다르며 그렇게 때문에 성숙도를 고려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고, 개인의 음질 차이를 결정하기 위해 대조군을 추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파킨슨병 설문지와 같은 삶의 질 측정에 대한 평가 도구를 추가하여 의사소통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활동 시 원활하게 음악활동을 할 수 있는 용이한 음악 악기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겠다. Jitter에 대한 추가 데이터 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명료도를 더 잘 정량화하기 위해 음성 속도에 대한 측정도를 포함하여 고려할 것을 강조하였다. 제한 사항까지 고려한다면 신경학적 음악 치료 기술(NMT)를 사용하여 파킨슨병 환자의 음성 및 언어 장애를 치료하는 그룹 음악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