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Rhythmic auditory cueing in motor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뇌졸중 환자의 운동 재활에서의 리듬 청각 신호 : 체계적인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Yoo, G. E., & Kim, S. J.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3(2),149-177. (2016)에 발행되었다.
결론.
1) 실제 적용에 대한 함의
현재의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결과 리듬 청각 신호를 사용한 통제된 개입은 뇌졸중 환자 운동 재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결과를 거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리듬 청각 신호는 보행 뿐만 아니라 상지 기능에 대한 리듬 청각 신호 사용의 유망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상지 기능에 대한 실제 적용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만성 뇌졸중 및 급성 뇌졸중 환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운동 개선을 위해 청각 리듬 신호의 적용을 고려해야 한다. 가정 및 지역사회에서의 지속적인 개입과 실용성 향상을 위한 녹음 음악의 사용에 대한 장기간의 훈련은 체계적으로 조사되어야 한다.
2) 연구에 대한 함의
이 분야의 문헌은 증가하고 효과성에 대한 일관된 근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용된 신호 유형의 변동성이 여전히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리듬 청각 신호 자체가 청각 및 운동 시스템 내에서 동기화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신경학적 장애를 가진 개인이 리듬적 운동 조정에서 이익을 얻는 방식을 충분히 입증한 반면 향후 연구에서는 영향을 받는 개인이 인식하고 해석하는 신호 유형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인지 결손이나 제한된 준수성의 존재에 따라 다양한 음악적 속성이 포함된 신호 유형과 복잡성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리듬 청각 신호가 치료적 매체로 설계되고 구현되는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체계적 분석은 뇌졸중 이후의 운동 재활에 대한 임상적 함의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연구의 유의미함.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운동 재활(운동 기능 향상)에 있어 리듬 청각 신호 사용이 효과적이라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11개의 임상연구 중 10개 연구가 분석되었으며 그중 7개 연구는 보행 훈련을 위해, 3개 연구는 상지 기능 훈련을 위해 리듬 청각 신호 사용이 기존의 재활 개입이나 다른 유형의 훈련(NDT 및 CIMT) 또는 신호(시각적 신호)와 비교되었다. 분석 결과 보행 훈련과 상지 기능 훈련 모두에서 리듬 청각 신호가 큰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뇌졸중 환자의 운동 회복에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지 기능을 위한 리듬 청각 신호의 사용이 주로 양쪽 훈련에 통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과제 지향적 상지 간 조율(Stewart et al., 2006)에 기초한 리듬 청각 신호의 중추적 메커니즘이 반복적인 진동 운동에 기초한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