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Active and passive rhythmic Music Therapy interventions differentially modulate sympathetic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능동적 및 수동적 리듬 음악 치료 개입이 교감 신경계 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McPherson, T., Berger, D., Alagapan, S., & Fröhlich, F.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6(3), 240-264. (2019)에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
1) 데이터분석
데이터는 맞춤형 MATLAB 및 R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통계 분석과 수치는 ggplot2, ggpubr, stats 패키지를 사용하는 맞춤형 R 스크립트를 통하여 생성되었다. 모든 생리학적 측정값은 데이터의 로그 변환을 통해 정규화되었다. 세션 이전의 기준값에서 조건(능동적 MT vs 수동적 MT) 및 세션 (첫 번째 세션 vs 두 번째 세션) 간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시퀀스(능동적 MT 첫 번째 세션 vs 능동적 MT 두 번째 세션, 수동적 MT 첫 번째 세션 vs 수동적 MT 두 번째 세션) 간 차이는 2-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HRV 및 타액 지표 결과와 POMS 설문지 데이터 간의 탐색적 상관관계를 수행 및 분석하였다. 제1종 오류를 제어하고 설문지 데이터에 대한 p-값을 조정하기 위해 Bonferroni Correction을 사용하였다.
결과.
능동적 MT 세션에서 LF/HF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수동 MT 개입은 LF/HF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HF, α-알파미라제, 코티졸 모두 조건효과에 대한 증거가 없었다. 세션 또는 순서(시퀀스)에 대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세션(첫 번째 세션, 두 번째 세션) 및 조건(활성 MT, 수동 MT)을 요인으로 하여 세션 전에서 세션 후로 정규화된 α-아밀라아제의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동적 MT 및 수동적 MT 개입에 대한 사전 및 사후 세션 값에 대한 대응 t-테스트도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α-아밀라아제가 개입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는 없었다. 다중적 비교를 위하여 Bonferroni Correction 보정을 적용한 후 수동적 MT 조건에서 POMS TMD의 변화와 HF의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만 유의미하게 유지되었다. 이를 통해 기분의 변화가 HRV 주파수 영역 매개변수, 특히 기분의 개선과 연결된 부교감 신경 활성화 및 교감신경 활성화의 감소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