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장애가 있는 아동과 부모 : 가정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부모와 아동 소통에 미치는 영향 (3).

by Musictraces 2024. 2. 14.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Pare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ffects of a home-based Music Therapy program on parent-child interactions.'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장애가 있는 아동과 부모 : 가정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부모와 아동 소통에 미치는 영향. '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Yang, Y. H.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3(1), 27-54. (2016)에 발행되었다.

 

연구방법.

1) 종속 조치

사전테스트와 사후 테스트의 10분 동안의 자유놀이에서 평가자는 아동의 상호작용 행동의 시작(개시)과 부모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부모-자녀 상호작용은 컴퓨터 지원 프로그램(SCRIBE) 버전 4.2를 사용하여 코딩했다. 각 평가의 분석을 위해 간격 기록 방법을 사용했으며 두 명의 평가자가 총 52개의 비디오 녹화 세션을 분석하여 세션당 총 40개의 관찰 간격에 대해 15초 간격으로 관찰했다. 상호 신뢰도는 부모의 신체적 반응(몸짓, 가리키기, 보여주기, 아이에게 기대기, 다정한 접촉, 행동방지 등)에서 86%, 부모의 구두 반응(질문하기, 칭찬하기, 인정하기, 환호하기, 애정 표현하기 등)에서 88%, 아동의 신체적 개시(가리키기, 보여주기, 요구하기, 부모쪽으로 고개 돌리기)에 대해 91%, 아동의 구두 개시(옹알이, 중얼거림, 킬킬거림, 휸내내기, 요청하기, 웃기 등)에서 89%를 기록하였다. 또한 부모-자녀 동시성이 측정되었다. 동시성은 부모와 자녀가 동일한 관심에 초점을 공유하고, 일치된 정서를 나타내며, 상호적이고 반응적인 교환에 참여하는 정도를 관찰하여 5점 리커트 유형 척도를 사용하여 30초 간격으로 코드화되었다. 두 명의 평가자가 총 52개의 비디오 클립을 코딩했고 세션당 총 20개의 관찰 간격에 대해 30초 간격으로 관찰했다.

 

2) 5점 리커트 유형 척도

5점 리커트 유형 척도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척도1 : 부모와 자녀는 동일한 관심의 초점을 공유하지 않고, 부모는 상호작용을 지나치게 지시하며 아이는 놀이에 부모를 거의 참여시키지 않는다. 척도2 : 부모와 자녀는 때때로 동일한 관심의 초점을 공유하고, 부모는 상호작용을 지시하며, 아이는 때때로 부모를 놀이에 참여시킨다. 척도3 : 부모와 자녀는 때때로 관심의 초점을 공유하고 부모는 때때로 상호작용을 지시하면서 때로는 아동의 리드를 따른다. 아이는 때때로 부모를 놀이에 참여시킨다. 척도4 : 부모와 자녀는 같은 관심의 초점을 자주 공유하고 부모는 때때로 상호작용을 지시한다. 부모는 자녀의 인도를 따르고 신속하고 자주 응답하고, 아동은 부모를 놀이에 자주 참여시킨다. 척도5 : 부모와 자녀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같은 관심을 공유하고 부모는 때때로 상호작용을 지시한다. 아이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부모를 놀이에 참여시킨다. 또한 부모가 학습한 활동들을 자녀의 일상생활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매주 자녀와 함께 최소 3번의 음악 활동을 하도록 부모에게 요청했으며 진행 상황과 뮤지컬 에피소드의 날짜, 기간 및 설정을 활동 로그 형식으로 기록하도록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