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법.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완치가 어렵지만, 적절한 치료와 중재를 통해 아동의 발달을 돕고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개별 아동의 필요에 따라 달라지며, 여러 접근법이 복합적으로 사용된다. 첫 번째로 행동 치료이다. 그 중 응용행동분석(ABA)은 자폐 스펙트럼 아동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는 행동 치료법 중 하나이다. 목표는 아동이 적절한 행동을 학습하도록 돕는 것이며,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고 문제 행동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자연주의 개발적 행동 중재(NDBI)는 아동의 일상적인 환경에서 놀이와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을 촉진하는 방법이다. 둘째, 언어 치료이다.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언어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언어 치료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말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아동에게는 대체 의사소통 도구(그림 카드, 보조기구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셋째, 감각 통합 치료이다.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감각적 자극에 민감하거나 둔감할 수 있기 때문에, 감각 통합 치료를 통해 이들의 감각 반응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 넷째, 사회적 기술 훈련이다. 자폐 아동들은 사회적 기술을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사회적 기술 훈련을 통해 의사소통, 공감, 협력 등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음악 치료이다. 음악 치료는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감정 표현,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된다. 즉흥 연주, 리듬, 노래 등을 활용하여 아동이 음악을 통해 감정과 욕구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강점.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다양한 강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그 강점을 인식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첫째, 세부적인 것에 대한 주의력이다. 자폐 아동들은 종종 세부 사항에 집중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둘째, 특정한 주제에 대한 깊은 관심과 전문성이다. 특정 주제에 대해 깊이 연구하거나, 그 주제에 대해 다른 사람보다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셋째,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이다. 자폐 아동들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마지막으로 창의성이다. 자폐 아동들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에서 창의적인 방법을 발견하거나 독특한 관점을 표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