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음악과 감각 시스템의 연관성 : 아동 치료의 통합적 관점에서 (1).

by Musictraces 2024. 3. 15.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 Associations between music and the sensory system: An integrative review for child therapy.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음악과 감각 시스템의 연관성 : 아동 치료의 통합적 관점에서.'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Simhon, V., Elefant, C., & Orkibi, H. 이며, 학술지 The Arts in Psychotherapy, 64, 26-33. (2019)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음악과 감각 시스템 사이의 연관성, 특히 감각 처리 장애(SPD)로 진단받은 아동의 음악을 사용한 음악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감각 처리는 신경계가 감각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적절한 운동 및 행동 반응으로 바꾸는 방식을 일컫는데, 감각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적절한 반응으로 구성되지 않는 것을 감각 처리 장애(SPD)라고 한다(Miller et al., 2014). 이 연구에서 음악의 개념은 인간은 음악적 동물이라는 Sacks의 설명(2007)을 따른다. 음악성은 음악을 인식하고 뇌의 다양한 부분을 사용하여 마음속에서 음악을 구성하는 능력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음악에 대한 이러한 무의식적인 구조적 감상 외에도 강렬하고 심오한 감정적 반응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반응은 청각적, 감정적일 뿐만 아니라, ‘우리는 근육으로 음악을 듣기때문에 운동 반응도 포함된다(Sacks, 2007). 신경 음악 치료 분야의 연구는 구조적 요소, 감각적 속성 및 인간의 두뇌를 포괄적으로 참여시키는 표현 특성을 가진 생물학적 언어로서의 음악에 중점을 둔다(Thaut & Hoemberg, 2014). Dunn(2001, 2007)은 사람의 신경학적 역치와 자기 조절 전략에 기초한 감각 처리의 네 가지 기본 패턴을 정의했는데, 낮은 등록(수동 반응이 있는 높은 역치) 및 감각 민감성(수동 반응이 있는 낮은 역치), 감각 탐색(능동 반응이 있는 높은 역치), 감각 회피(능동 반응이 있는 낮은 역치)가 그것이다. 이러한 패턴은 일상 생활에 참여하는 개인의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감각 처리는 감각 시스템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입력, 구성 및 해석하는 신경계의 능력을 말한다. 여러 연구들은 이러한 과정이 감각 경험에 대한 개인의 반응뿐만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 작용, 사회적 관계 및 학업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Fox et al., 2014).

 

고찰.

뇌의 다양한 부분을 통합적으로 사용하여 음악을 구성하는 능력과 음악을 인식하는 능력을 음악성이라고 하며 이러한 반응은 청각적 반응, 감각적 반응, 그리고 운동 반응을 포함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