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 대상 리듬청각자극(RAS) 보행훈련 시 선율 적용 사례'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박혜지이며, 학술지 인간 행동과 음악연구, 12(2), 19-36. (2015)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리듬청각자극(RAS) 적용 시 선율의 유무에 따른 보행 훈련 효과를 비교하고 보행인자의 변화(시공간적 지표와 운동 형상학적 지표)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
1) 참가자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 입원 환자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참여자는 실내에서 비교적 제한된 거리를 독립적으로 보행할 수 있는 수준이며 시력, 청력으로 인해 일상 생활 과제 수행에 어려움이 없는 대상자이다.
2) 도구
VICON 370 Motion Analysis System을 사용하여 보행의 시공간적 지표와 운동 형상학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16개의 마커를 천골, 좌우측 고관절, 좌우측 대퇴, 좌우측 슬관절, 좌우측 경골부, 좌우측 족관절, 좌우측 전족부와 후족부에 부착하고 6대의 적외선 카메라로 마커의 좌표를 계속적으로 산출한다. 전자키보드(DGX-230, Yamaha Electronics Co., Japan)와 전자키보드에 내장된 메트로놈은 RAS 자극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메트로놈은 대상자의 분속수에 따라 음악 자극과 함께 일정한 박을 조정하여 제공한다. 초시계(ZH3000, Star Electronics Co., China)는 훈련 기간 동안 환자의 분속수 측정 및 보행 시간 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3) 절차
사전·사후 평가는 훈련 시작 전후에 2일 이내에 실시되었으며 마커 부착은 보행분석 전문가에 의해 환자의 골반 뼈를 기준으로 부착 위치가 확인되었다. 16개의 마커가 부착된 상태로 보행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보행 구간은 사전에 표시된 가속구간 1m, 감속구간 1m, 측정구간 8m로 구성하여 총 10m를 보행하게 한 후 보행자의 시공간적 지표와 운동 형상학적 지표를 측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