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 대상 리듬청각자극(RAS) 보행훈련 시 선율 적용 사례 (3).

by Musictraces 2024. 3. 29.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 대상 리듬청각자극(RAS) 보행훈련 시 선율 적용 사례'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박혜지이며, 학술지 인간 행동과 음악연구, 12(2), 19-36. (2015)에 발행되었다.

 

결과.

대상자별 운동 형상학적 지표 중 시상면의 변화를 살펴보면 운동 형상학적 지표 중 각 관절의 움직임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며 보행 시 대칭적 움직임을 보기 위해 시상 면을 분석하였다. 보행 주기에 따라 신체를 앞뒤로 움직이는 굴곡과 신전의 움직임 각도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 모두 공통적으로 고관절 및 슬관절의 움직임에서 필요 이상의 과도한 굴곡이나 신전이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양측의 비대칭성(asymmetry)이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1) 골반 경사각

대상자 A는 좌측 초기 유각기에서 골반의 앞으로 기울어졌던 모습이 감소하였으며 양측 전방경사로 인한 비대칭성도 사후평가 시에 감소되었다. 대상자 BC는 사전평가와 사후평가에서 모두 정상 범주에 속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2) 고관절각

대상자 A는 사전평가 시 좌측의 중간 유각기에서 과도한 굴곡이 나타났지만 사후평가 시에 과도한 굴곡이 감소하여 발가락 끌기가 감소하였다. 대상자 B는 사전평가 시 우측의 초기 닿기에서 신전의 경향을 보였으나 사후평가 시에 정상 범주에 해당하는 결과를 보였다. 대상자 C는 사전평가 시에 양측 모두 중간 입각기에서 과도한 굴곡이 나타났지만 사후평가 시에는 필요 이상의 굴곡이 감소하고 고관절의 신전 움직임이 증가하였다.

 

3) 슬관절각

대상자 A는 좌측의 중간 유각기에서 과도한 굴곡이 나타났으며 우측의 초기 유각기에서 굴곡 제한이 나타났고 이로 인해 발이 바닥에 끌리는 움직임이 관찰되었다. 사후평가 시에는 중간 유각기에서 좌측에서 과도한 굴곡이 감소하고 우측에서는 굴곡 각도 증가함에따라 양측의 비대칭성이 크게 줄어들었다. 대상자 B는 사전평가 시에 우측 부하반응기에서 굴곡 제한이 나타나 초기 닿기가 나타났으며 양측의 유각기에서 정상 범위를 넘은 굴곡이 나타났다. 사후평가 시에는 굴곡 각도가 증가하고 보폭이 늘어났다. 대상자 C는 사전평가 시에 양측에서 과도한 굴곡이 관찰되었으나 사후평가 시에는 굴곡이 감소하고 초기 유각기에서 굴곡 각도 증가함에 따라 움직임의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