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 치료 서적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5)

by Musictraces 2025. 1. 31.

신경재활 음악치료 - 원리와 실제

김수지 저

 

2. 운동의 신경학적 처리 과정

 

척수와 뇌간의 국소회로

: 운동은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에 의해 조절된다.

 

하행성 신경계

1) 추체로와 추체외로:

체로는 뇌의 한쪽에서 척수의 반대편으로 교차하는데 이 교차 지점이 추제라고 불리는 연수의 융기부이다. 이 신경로는 손, 손가락 및 발가락 같은 말초영역에서의 운동을 통제한다.

추체로와 대조적으로 추제외로는 1차 운동피질과 보조운동피질, 혹은 다른 맣은 치질영역으로부터 나오는 축삭들로 이루어지며, 연수의 추체를 통과하지 않는 모든 신경로를 지칭한다. 추체외로의 손상은 걷기, 돌기, 굽히기, 일어서기, 앉기와 같은 양측성 운동에 장애를 일으킨다.

추체로와 추체외로는 상호보완적으로 활동하면서 가능하면 효율적이고 조화로운 움직임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기저핵과 운동조절:

추체외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기저핵은 움직임을 스스로 실행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무의식적이고 정확하고 자동적인 동작에 관여하는 기저핵은 우리가 일상에서 반복훈련을 통해 학습하고 기억하는 많은 행동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3) 소뇌와 운동협응:

소뇌의 주요 기능은 운동협응의 조절과 운동기능의 습득이다.

 

 

3. 특정 기능에 관련된 뇌영역

 

말산출 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뇌영역:

브로카와 베르니케, 브로드만 영역. 브로드만 영역은 47개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구분뒤었으며, 언어기능에서는 브로카 영역이 BA44번으로 말을 하는 동안 입의 운동을 계획하고 어순 등과 관련한 문법을 담당한 운동영역이다. 이 부분의 손상은 언어운동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 문제를 발생시킨다.

측두엽에서 청각정보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영역인 베르니케 영역은 BA22번으로 언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역할을 한다. 이 부분이 손상되면 들은 것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유발한다.

언어의 이해화 산출은 여러 단계의 복잡한 신경학적 처리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데, 언어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지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뇌영역:

인지처리 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수준의 주의는 신경계가 자극에 반응하는데 칠요한 주의를 배분하는 능력으로, 다른 차원에서 보면 각성을 의미한다. 뇌간에 위치하고 있는 망상활성체계의 세포체가 대부분의 대뇌피질 영역과 연결되어 뇌 전체의 각성수준을 조절한다. 주의에 관여하는 주요한 뇌영역인 시상은 대뇌피질 각성의 조율을 하는 기관으로 시상에 의해 감각정보의 선택, 즉 여과가 일어나고 이후 보다 정밀한 정보의 선택 과정이 이루어진다.

주의와 작업기억은 전전두엽과 두정엽에서 담당하는데, 언어와 의미적 기억의 인출은 좌뇌의 전전두엽과 측두엽이 담당한다.

 

주의 통제:

전대상피질은 주의 통제와 감정조절운동 통제에 관여하는 주요 기관으로 적절한 반응을 하기 위한 전형적이고 자동적인 반응을 억제하는 노력을 담당한다. 대상피질이 손상되면 무감동, 부주의, 정서불안 등의 문제가 나타난다.

 

기억:

전두엽은 기억의 부호화와 인출을 담당하는 영역이며 새로운 기억을 형성할 떄 관련된다.

해마는 기억이 저장되는 영역으로 기억기능은 피질과 피질하의 구조와 회로 대부분이 관여하고 있다.

편도체는 복잡한 처리 과정에서 빠르고 강한 정보처리를 위해 감정을 활용하는 기관으로 정보처리의 완급을 조절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