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The effects of music salience on the gait performance of young adults.
젊은 성인의 보행 수행능력에 음악의 특이성이 미치는 영향.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De Bruin, N., Kempster, C., Doucette, A., Doan, J. B., Hu, B., & Brown, L. A.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2(3), 394-419. (2015)에 발행되었다.
결과.
1) 연구2(Cue 주파수)
제공된 신호의 주파수는 MET와 MUS 조건에서 참가자들의 선호 보행 주기의 90%, 100%, 110%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즐거움 점수는 90%, 100%, 110%에서 Cue 모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참가자들은 모든 주파수에서 음악 조건에서 메트로놈 조건보다 상당히 더 즐거움을 느꼈다. 보행 속도, 보폭, 보행 주기, 보폭 시간 변동성에 대한 Cue 모드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참가자들이 걷는 동안 메트로놈 또는 음악 신호에 따라 보행을 차별적으로 조절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또한, 보행 매개변수에 대한 Tempo의 주요 효과도 유의하지 않았으며 Cue 모드와 Tempo의 상호작용 역시 유의하지 않았다. Cue 모드별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MET 조건에서 보행 속도와 보폭에 Tempo의 주요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는 메트로놈이 존재할 때 두 매개변수가 증가함을 나타냈다. 보행 주기와 보폭 시간 변동성은 MET Tempo의 변화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보행 속도와 보폭을 NC 조건과 MET 조건 간의 비교 및 MET 조건 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MUS 조건에서도 음악의 변화에 따라 보행 속도와 보폭이 달라지며, 보행 주기와 보폭 시간 변동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음악 조건과 비교했을 때 음악 조건에서 더 빠르게 걸으며 보폭이 더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음악 조건 간의 비교에서는 보행 속도와 보폭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보행 주기에는 주파수 변화에 따른 영향이 없었고, Cue 모드에서는 음악 조건이 메트로놈 조건보다 더 즐거움을 주었다. Cue 모드는 보행 속도, 보폭, 보행 주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MET 조건에서는 메트로놈이 보행 속도와 보폭에 영향을 주었다. MUS 조건에서는 음악 조건이 보행 속도와 보폭에 영향을 주었으며, 보행 주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