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 Considering rhythm for sensorimotor regul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자폐증 아동의 감각운동 제어에 리듬이 가지는 역할.'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LaGasse, A. B., & Hardy, M. W. 이며, 학술지 Music Therapy Perspectives, 31, 67-77. (2013)에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
1) ASD의 기능적 움직임
발달 신경 심리학에서 ‘제스처’라는 용어는 숙련된 운동행위 또는 일련의 의도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는 능력과 도구를 사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Dewey, 1995). ASD 관련 연구에서 자주 보고되는 또 다른 움직임과 관련한 발견은 이런 운동 제스처를 수행할 때의 손상이다(Dziuk et al., 2007). 많은 연구자들이 이 주제를 조사했고, 모방 결손은 연구 결과 ASD에서 보편적이고 특정한 것으로 간주된다(Vanvuchelen et al., 2007; Williams et al., 2004). 숙련된 운동 과제의 결함 및 운동 과제의 모방은 ASD 환자에게 존재하는 것으로 제안된 보다 일반화된 운동 결함인 실행장애와 일치한다(MacNeil & Mostofsky, 2012; Mostofsky et al., 2006). 이러한 연구들은 ASD가 있는 아동이 움직임을 다르게 예상하고 완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운동 기능 장애가 ASD의 핵심 특징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Donnellan et al., 2010; Leary & Hill, 1996). 다양한 운동 행동에서 지시에 따르지 않는 행동들이 의사 소통의 부족 또는 반항이 아니라 잘못된 조정, 전반적인 운동 계획의 결손, 계획의 무능력 또는 주의력 결핍의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음악 치료사는 운동 지연과 운동 차이의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될 것이다. 몇몇 연구자들은 감각 또는 인지 운동 결핍이 ASD 운동 차이의 핵심이라고 제안한다(Cossu et al., 2012; McNeil & Mostofsky, 2012). ASD가 있는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지만 신경학적 차이는 필요한 운동 패턴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는데 장애로 작용한다. 따라서 개입의 목표는 운동 시스템이 최적의 기능에 도달하도록 돕기 위해 적절한 수용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제어를 개선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리듬은 감각 운동 차이를 경험하는 ASD 환자의 운동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는 하나의 조정일 수 있다. 운동 제어 최적화는 ASD 환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신경학적 차이가 광범위한 기능적 차이로 이어지는 경우, 움직임을 조직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조정은 행동, 의사소통 또는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능력의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치료에 체계적으로 사용되는 리듬은 운동 능력을 최적화하는 것 이상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고찰.
음악 치료사는 운동 지연과 운동 차이에 대해 숙지하여 두 결함의 발생 가능성과 차이점에 대해 인지해야 한다. 음악에서 사용하는 리듬은 감각 운동 차이를 경험하는 ASD 환자의 운동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조정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운동 능력 최적화 이상의 긍정적인 개선을 가져 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