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음악 치료사의 음악적 역전이동 경험: 현상학적 연구(2)

by Musictraces 2025. 3. 25.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Musical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A Phenomenological Study.'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음악 치료사의 음악적 역전이동 경험: 현상학적 연구.'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Lisa M. Dillard. 이며, 학술지 The Arts in Psychotherapy, 33(3), 208217. (2006)에 발행되었다.

 

 

치료로서의-음악. 과학적,-임상학적-치료.
치료로서의 음악. 과학적, 임상학적 치료.

 

연구방법.

연구 가설.

이 연구는 귀납적 연구 접근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연구 가설이 사전에 설정되지는 않았다.

 

측정 도구 및 데이터 분석.

이 연구에서는 전화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질적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Giorgi(1975)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연구자는 모든 인터뷰를 오디오로 녹음한 후 전사하였으며 독립적인 관찰자가 오류나 누락된 데이터를 검토하여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9명의 참가자 중 1명은 연구 주제와 관련된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했다고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8명의 인터뷰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개별 데이터 분석은 네 가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연구자는 인터뷰 내용을 여러 번 읽으며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한 후 이를 큰 의미 단위로 구분하고 이후 더 작은 의미 단위로 세분화하여 독립적인 의미를 표현하였다. 이후 각 의미 단위를 3인칭 시점으로 변환하여 심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음악적 역전이 경험이 발생한 참가자의 배경과 맥락을 반영한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그룹 데이터 분석은 참가자 간의 공통된 경험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4명 이상의 참가자가 공유한 경험을 바탕으로 주요 주제 목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음악적 역전이에 대한 전체적인 내러티브 설명을 정리하였다.

 

윤리적 고려.

이 연구에서 인터뷰는 오디오로 녹음되었으며 연구자는 참가자들의 신원을 보호하기 위해 이름 대신 숫자로 데이터를 라벨링하였다. 또한 인터뷰 시작 전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참가자들에게 충분히 설명하였으며 연구 참여가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데이터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현상학적 데이터 분석 교육을 받은 제3자가 트랜스크립트와 의미 단위를 검토하였으며 연구자가 도출한 주제가 참가자의 경험을 정확하게 반영하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 참가자들은 음악적 역전이가 치료 관계 내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한 형태임을 설명하였으며 음악을 통해 치료사와 내담자 간 무의식적인 감정과 메시지가 전달된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음악적 역전이를 인식하는 신호로는 강한 충동 반응, 감정 및 신체적 변화, 내담자와의 평행 과정 등이 포함되었다. 대부분의 참가자는 치료 과정에서 내담자와의 관계가 자신의 과거 경험과 연결되는 순간을 경험하였다. 셋째, 치료사들은 음악적 역전이를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치료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그러나 이를 의식적으로 인지하지 않으면 치료사와 내담자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