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음악 치료가 ASD(자폐스펙트럼)아동의 감각 게이팅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파일럿 및 타당성 조사 (3).

by Musictraces 2024. 5. 3.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Assessing the impact of music therapy on sensory gating and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A pilot and feasibility study.'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음악 치료가 ASD(자폐스펙트럼)아동의 감각 게이팅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파일럿 및 타당성 조사.'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LaGasse, A. B., Manning, R. C.B., Crasta, J. E., Gavin, W. J., & Davies, P. L.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6(3), 287-314. (2019)에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

1) 선택적 주의 집중력

Sky Search: 라미네이트 시트에 나열된 우주선 이미지에서 목표 항목을 식별하는 작업으로 108개의 주의 산만 이미지 중 20개의 타겟 이미지가 포함된다. 아동의 수행 속도와 정확성을 포함하여 점수가 매겨진다.

지도 미션: 도시 지도에 제시된 다양한 분산 이미지 중 80개의 시각적 대상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아동은 정확하게 대상 이미지에 동그라미를 표시해야 한다.

 

2) 주의 집중력 전환 및 통제

Creature Counting (생물 수 세기): 굴 속에 있는 생물들과 생물들 사이에 표시된 화살표가 있는 자극 책자를 사용하여 하향식으로 생물체의 수를 센 후 방향 화살표를 사용하여 개체 수의 방향을 변경한다.

Opposite Worlds: 숫자 ‘1’‘2’로 구성된 두 가지 유형의 게임 보드를 사용하며 같은 세계게임 보드에서는 게임 보드에 나타나는 ‘1’‘2’를 말로 표현해야 하고, ‘반대 세계게임 보드에서는 ‘1’을 만나면 ‘2’라고 말하고, ‘2’를 만나면 ‘1’이라고 말해야 한다.

 

3) 자료분석

타당성 측정: 고기능 ASD 아동의 주의력 차이가 EEG 감각 게이팅 프로토콜과 TEA-Ch에서 입증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ASD 아동과 연령 및 성별이 일치하는 TD 아동의 비교 그룹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감각 게이팅과 행동주의 점수 사이에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EEG 패러다임에 기록된 점수를 ASD TD 아동의 TEA-Ch 점수와 비교했다. 예비효과: 뇌파 감소 및 분석을 위해 EEG 기록 세션에서 수집된 원시 데이터는 Brain Vision Analyzer를 사용하여 처리되었다.

 

4)통계분석

통계분석에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ASD 아동과 TD 아동 사이의 감각 처리 및 주의력의 차이를 입증하기 위해 EEG(P50 N100) TEA-Ch 점수의 서로 다른 주의 집중력 구성요소를 독립 t-test를 통해 비교했다. 뇌와 행동 점수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 분석을 사용하여 P50 N100 차이 점수와 ASD TD 아동의 TEA-Ch 점수를 비교했으며, 이를 통해 각 그룹 간의 변수 간 관계를 확인했다. 또한 P50 차이 점수와 사후 개입 데이터에 대한 N100 차이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여 사전 개입과 사후 개입의 감각 게이팅 능력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했다. Cohen의 효과 크기는 종속 변수에 대한 독립 변수의 효과 크기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효과 크기는 d=0.2가 작은 효과, d=0.5가 중간 효과, d=0.8이 큰 효과, d=1.30이 매우 큰 효과 크기를 나타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