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Assessing the impact of music therapy on sensory gating and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A pilot and feasibility study.'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음악 치료가 ASD(자폐스펙트럼)아동의 감각 게이팅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파일럿 및 타당성 조사.'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LaGasse, A. B., Manning, R. C.B., Crasta, J. E., Gavin, W. J., & Davies, P. L.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6(3), 287-314. (2019)에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
1) 측정도구
타당성: 수집된 프로세스 평가 데이터에는 연구 절차에 동의한 참가자 수와 평가 및 중재 세션을 완료할 수 있는 참가자의 능력 그리고 거부 또는 완료 사유가 포함되었다.
뇌파 기록 중에 사용되는 감각 게이팅 패러다임 : 이 연구에서 사용된 감각 게이팅 패러다임은 청각 자극을 필터링하는 뇌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신경 메커니즘을 측정하였다.
뇌파(EEG) 데이터 수집 : BioSemi ActiveTwo 뇌파 획득 시스템을 사용하여 뇌파 데이터를 수집했고, EOG(Electrooculographs) 데이터를 얻기 위해 왼쪽 및 오른쪽 귓불, 왼쪽 및 오른쪽 눈 바깥쪽 칸투스, 왼쪽 안와 및 아래 안와에 전극을 배치하였다. EOG 데이터는 나중에 눈의 움직임과 눈 깜빡임 및 얼굴 근육 움직임을 제거하기 위해 처리되었다.
event-related potential (ERP) 구성요소 평가 : EEG 데이터는 자극에 따라 분할되고 평균화되어 첫번째 클릭과 테스트 클릭을 조절하기 위한 ERP가 생성되었다. 감각 게이팅을 평가하기 위해 P50과 N100의 피크 대 피크 진폭 성분 간 차이를 계산한 차이 점수를 사용했다. P50의 경우, 양의 차이 점수가 클수록 게이팅이 성공적이고 작을수록 불완전한 게이팅을 나타냈다. 음의 편향이 N100의 경우, 음의 차이 점수가 클수록 게이팅이 성공하고 작을수록 게이팅이 손상되었음을 나타내었다.
TEA-Ch : TEA-Ch는 청각 및 시각적 요구를 전달하는 게임과 같은 작업을 사용하여 선택적 주의력, 지속적 주의력, 주의력 제어/전환을 평가하는 9가지 하위 테스트로 구성된 평가 도구이다.
TEA-Ch의 지속적 주의력을 측정하는 하위 테스트
Score!: 10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작업으로 9~15개의 동일한 톤을 가변 지속 시간 간격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Score DT: Score!와 유사한 작업으로, 톤을 제시하고 아이들에게 같은 방식으로 카운트하도록 요구한다.
코드 전송: 어린이는 2초 간격으로 표시된 일련의 숫자를 듣고 대상 시퀀스의 발생을 식별한 다음 대상 시퀀스 바로 앞에 있는 숫자를 보고해야 하는 작업이다. 이는 청각 경보 작업으로 간주된다.
Walk Don't Walk: 14제곱 경로의 시각적 게임 보드에 해당하는 "이동" 및 "이동 금지" 톤을 제공한다.
Sky Search DT: 아이들은 청각 계산 과제로 제시된 소리를 동시에 세면서 Sky Search를 완료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