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 치료 서적

음악치료 이론과 심상유도 음악치료 실제(3)

by Musictraces 2025. 1. 16.

음악치료 이론과 심상유도 음악치료 실제

임재영, 이주영, 신동렬 지음

 

심상유도 음악치료 (GIM)의 적용

 

심리사회 및 정서분야: 일반인은 주로 심리, 정서적인 측면인 우울, 불안, 강박, 적개심, 편집증, 대인관계, 스트레스, 정신 분열로 고통받는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결과 그 효과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의료 분야: 생리적인 변화와 알코올 환자, 강직성 척추염, 고혈압, 류머티즘 관절염, 암환자, 다중 중독환자, 에이즈, 호스피스 환자들에게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중년 여성의 자기실현을 위한 심상 유도 음악치료 1>

GIM이 자신의 삶 전반을 돌아보고 현재의 내적 요청과 심리적 문제를 다루고 개선하여 자기실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가 되었다.

 

<중년 여성의 자기실현을 위한 심상 유도 음악치료2>

대상자의 배경 소개: 대상자는 직장상사와의 관계에서 수동적이고 자신을 표현하지 못하는 상황. 신체적인 통증과 피로감이 항상 있어 삶이 즐겁지 않다. GIM세션을 통해 대상자는 본인의 그림자가 친정 식구들과의 관계에서 사랑받고 싶은 자신임을 발견하고 억압, 분노, 원망을 재경험하게 되었다. GIM을 통해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고 해소하는 과정을 가지면 자신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착한 딸이라는 페르소나의 자각을 통해 독립적이고 건강한 어머니의 역할을 재정립하게 되었다. 비소로 대상자는 긍정적인 에너지를 확인하고 자유로운 상태의 자기실현 과정을 경험하게 되었다.

 

<중년 여성의 자기실현을 위한 심상 유도 음악치료3>

대상자의 배경소개: 대상자는 직장 동료들에게 소외되고 고립되어 우울감을 느끼고 있었다. GIM을 통해 어린 시절의 자신을 돌아보며 좌절을 경험한 본인의 그림자를 자각하고 재경험함으로써 밝고 긍정적이며 희망이 있었던 자신을 재경험하였다. 학교를 자퇴시키고 성추행한 아버지와의 부정적 감정을 GIM 세션을 통해 표출하고 해소함으로써 신앙인의 체르소나를 자각하고 독립적인 자기와의 만남이 이루어졌다. 대상자는 페르소나의 재정립을 통해 자유롭고 유쾌한 본질적인 자기와의 만남으로 자기실현의 과정이 이루어졌다.

 

<중년 여성의 자기실현을 위한 심상 유도 음악치료 4>

대상자 배경: 대상자는 직장에서 자주 화는 내는 자신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며 GIM세션을 통해 어린 시절 보호받지 못하고 지지받지 못한 자신의 그림자를 자각하였다. 세션 안에서 쫓기고 불안하고 답답함을 느끼며, 과거 아버지와의 부정적 관계를 표출하고 해소하였다. 어머니로부터 착한 딸이라는 페르소나로 살아온 자기 정체성에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며 어머니인 자신을 돌아보고 자기에 대한 인식을 가져왔다. 대상자는 어머니일 때 가장 자신답고 논리적이고 당당하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자신이라는 것을 경험하였다.

 

<중년 여성의 자기실연을 위한 심상 유도 음악치료 5>

대상자 배경: 대상자는 남편의 사망 후 남편이 해결하지 못하고 간 일들에 대해 힘들어 하는 상태였다. GIM세션을 통해 남편을 떠나보낸 슬픔과 막막함을 직면하며 현실을 수용하고, 가슴을 짓누르는 무거움과 답답을을 통해 그림자를 자각하였다. 대상자는 남편과의 기억을 떠올리며 신앙인이자 아내로서 억압하고 있었던 감정을 표출하고 부정적인 사고를 상대에게 표출하지 못하는 본인을 착한 딸이라는 페르소나의 자각을 통해 성찰하였다. 대상자는 친정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어린 시절 원망과 두려움의 감정이 재경험되었으며 친정아버지를 통해 사랑받았던 자신을 발견하며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자기을 인식하게 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