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2).

by Musictraces 2024. 6. 12.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조수진이며, 학술지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6(1), 89-110. (2016)에 발행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모든 참여자는 중재 활동 이후 상호작용 시도행동, 반응행동의 목표 행동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다가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유지 구간 동안에는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상호적 악기 연주 중재가 ASD 성인의 상호작용 시도 행동과 반응행동 증가에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사회적 상호작용 시도행동에 비해 사회적 상호작용 반응행동의 증가폭이 더 컸으며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유지기간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중재 후 일상생활에서 참여자들의 공동 활동에 수용하는 비중이 증가하였다.

 

연구의 유의미함.

본 연구에서 상호적 악기 연주 중재가 ASD 성인의 상호작용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음악적으로 구조화된 환경은 ASD 성인의 상호 작용을 촉진 및 유도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언어적 조건에서보다 음악적 조건에서 상호 작용 시도가 증가한다는 선행 연구의 주장을 뒷받침하였다. 구조화된 음악과 음악적 큐 사용은 성인 ASD그룹에게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룹 내 상호작용 행동이 급격하게 증가한 참여자가 있을 경우 그로 인해 다른 그룹원의 모방 행동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겠다. 음악적으로 전달된 사회적 정보가 사회적 맥락 안에서 타그룹원의 의도를 이해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도록 촉진하는 효과적인 매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D 성인에게 음악치료 중재를 통한 사회행동 변화를 관찰한 것을 토대로 해당 대상군의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을 확인하고 기초자료를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제한된 언어 발달 및 언어 사용을 보이는 대상군에게도 악기 연주 활동이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의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상호적 악기 연주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ASD 성인의 상호작용 향상에 더 큰 기대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음악치료 중재(상호적 악기 연주 중재 프로그램)가 향후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성 향상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