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능동적 및 수동적 리듬 음악 치료 개입이 교감 신경계 활동에 미치는 영향 (1).

by Musictraces 2024. 2. 1.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Active and passive rhythmic Music Therapy interventions differentially modulate sympathetic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능동적 및 수동적 리듬 음악 치료 개입이 교감 신경계 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McPherson, T., Berger, D., Alagapan, S., & Fröhlich, F.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6(3), 240-264. (2019)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 MT와 수동적 MT의 두 가지 다른 음악치료 양식을 대조하여 생리학적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서로 다른 메커니즘이 어떻게 각 중재 방법을 뒷받침하는지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 참가자

본 연구는 18-34세의 건강한 성인 16(12, 4)으로 모두 오른손잡이이고 신경학적 또는 심혈관 질환 병력이 없는 대상자이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교차설계연구(cross-over designed)를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16명의 참가자는 능동적 MT와 수동적 MT에 무작위로 배정되어 단일 세션을 실시하였다. 참가자들은 세션 순서를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참가자 중 절반은 능동적 MT를 실시한 후에 수동적 MT를 실시하고 나머지 절반은 수동적 MT를 실시한 후에 능동적 MT를 수행하였다. 모든 치료 세션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최소 1주일의 휴지기간을 가졌다.

 

3) 능동적 MT

능동적 MT4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리코더 불기(10), 손뼉 치기(5), 다양한 악기로 자유롭게 연주하는 즉흥연주(20), 치료사의 피아노 연주 감상(5)의 순서로 리듬적인 음악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4) 수동적 MT

수동적 MT40분 동안 앉아서 수동적인 음악 감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참가자들은 능동적 MT와 동일한 스타일, 음색, 길이, 템포로 치료사가 선택한 리듬적인 음악을 감상했다. 특히 60 bpm의 일정한 빠르기로 조절되었고 오디오는 60데시벨로 재생되었다. 플룻 음악 감상(10), 타악기 음악 감상(5), 재즈 즉흥연주 음악 감상(20), 클래식 피아노 음악 감상(5)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5)실험 측정

본 연구에서 HRV와 타액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각 세션마다의 각 참가자의 세션 사전, 사후에 HRV를 평가하기 위해 5분간의 심박수 측정이 수행되었다. HRV 구성요소 중 HFLF/HFKubio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타액 코티졸과 α-알파미라제도 세션 사전 사후에 수집 및 분석되었다. 또한 동기, 음악적 경험, 손사용 및 기분의 잠재적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BAS&BIS, Gold-MSI, 손잡이 설문지가 초기 실험 세션에서 수행되었다. 감정 관련 설문지(POMS)는 각 세션 전후로 측정되었다. 실험자는 각 치료 세션 동안 주관적인 관찰 노트를 기록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