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뇌졸중 환자의 운동 재활에서의 리듬 청각 신호 : 체계적인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7).

by Musictraces 2024. 1. 30.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Rhythmic auditory cueing in motor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뇌졸중 환자의 운동 재활에서의 리듬 청각 신호 : 체계적인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Yoo, G. E., & Kim, S. J.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3(2),149-177. (2016)에 발행되었다.

 

연구의 유의미함.

걷기 속도의 증가가 보행의 공간적 측면을 희생시킬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리듬 청각 신호 유형이 보행의 시간적 및 공간적 측면에 어떻게 중재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뇌졸중 단계 변수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리듬 청각 신호의 개입 효과의 변동성은 뇌졸중 발병 후 3개월 미만 환자와 3개월 이상 환자 사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나타냈다. 추가 분석에서는 시기에 따라 보행의 시간적 매개변수가 급성 뇌졸중 환자에서만 더 많이 관찰되었다. 한편 연구 간 시간적 보행 매개변수 변화에 대한 이질성은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더 적었으며, 이는 재활이 시기에 따라 보다 일관된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재활 시기와 리듬적 신호 개입의 조합이 보행 회복을 위해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리듬적 신호 개입이 뇌졸중 회복의 다른 단계에 미치는 효과를 더 자세히 탐구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본 연구에서의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은 리듬적 신호를 사용한 운동 재활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상지 기능에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리듬 청각 신호의 유형과 뇌졸중 단계에 따라 효과에 차이가 있고 음악적으로 적응된 리듬적 청각 신호는 보행 속도와 보행 주기 개선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는 구현과 관련하여 차이와 이질성이 존재함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더 통제된 설계로 신호 유형과 특정 변수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운동 재활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임을 확인하였기에 리듬 청각 신호를 활용한 음악치료는 보행 능력과 상지 기능 개선에 대한 유망한 접근법으로 간주되기를 기대해본다. 또한 리듬이 뇌졸중 환자의 운동 회복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리듬 청각 신호는 클라이언트의 운동 조정과 동기화 과정을 촉진시킴으로써 신경 장애를 가진 클라이언트 뿐만 아니라 만성 뇌졸중, 및 급성 뇌졸중 환자 모두에게 효과적이고 도움을 줄 수 있겠다. 또한 추가적으로 음악치료의 다양한 변수와 음악적 속성이 치료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입증하기 위해 임상에 적용하는 등 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함을 절실히 깨닫는 시간이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