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장애가 있는 아동과 부모 : 가정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부모와 아동 소통에 미치는 영향 (1).

by Musictraces 2024. 2. 12.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Pare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ffects of a home-based Music Therapy program on parent-child interactions.'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장애가 있는 아동과 부모 : 가정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부모와 아동 소통에 미치는 영향. '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Yang, Y. H. 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3(1), 27-54. (2016)에 발행되었다.

 

연구 목적.

연구자들은 아동과 부모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아동 발달의 기초가 되는 행동이며(Feldman, Eidelman, & Rotenberg, 2004; Haven, Manangan, Sparrow, & Wilson, 2014), 아동의 언어, 인지 및 사회적 의사소통의 발달뿐만 아니라 사회적 능력, 초기 문해력, 학업 성취도와도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서술한다(Connell & Prinz, 2002; Dodici, Draper, & Peterson, 2003, Gregory & Rimm-Kaufman, 2008, Magill-Evans & Harrison, 2001). 자녀의 요구와 신호에 부모가 반응하는 방식인 반응적 양육은 아동이 안정감을 느끼고 보호자와 환경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를 구축함으로써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ong & Carta, 2011; Kim & Mahoney, 2004). 특히 동시적이고 상호 반응적인 부모-자녀 상호 작용이 아동의 최적 발달을 촉진하는데, 특히 장애가 있거나 발달 지연이 있는 아동에게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Lindsey et al., 2009; Kim & Mahoney, 2004; Landa et al., 2011; Ruble et al., 2008; Siller & Sigman, 2008). 아동의 발달은 적절한 자극과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모의 능력에 영향을 크게 받지만(Venuti, de Falco, Giusti, & Bornstein, 2008), 장애 또는 발달 지연이 있는 자녀의 부모는 장애가 없는 자녀의 부모보다 자녀에게 더 지시적이고, 반응이 적으며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Green et al., 2014; Sandberg & Liliedahl, 2008; Wan et al., 2012). 부모는 자녀가 음악에 참여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자녀의 발달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노래하기, 듣기, 악기 연주 음악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것과 같은 음악 활동은 장애 아동과 그 가족 사이에 자연스러운 사회적 상호작용 기회를 제공한다. 부모-자녀 상호 작용 개선을 위한 음악 개입의 이점은 잘 확립되어 있으나, 음악 참여가 부모-자녀 동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 음악치료가 자녀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인 신체적 반응과 언어적 반응을 촉발하는지, 자녀들의 긍정적인 신체적 언어적 시작반응을 촉발하는지, 마지막으로 부모-자녀 동시성이 자유롭게 노는 시간에 증가하는지를 조사했으며 또한 부모가 학습한 활동들을 자녀의 일상생활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아보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