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Assessing the impact of music therapy on sensory gating and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A pilot and feasibility study.'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음악 치료가 ASD(자폐스펙트럼)아동의 감각 게이팅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파일럿 및 타당성 조사.'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LaGasse, A. B., Manning, R. C.B., Crasta, J. E., Gavin, W. J., & Davies, P. L.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56(3), 287-314. (2019)에 발행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ASD 아동의 감각 게이팅과 주의집중의 생리적, 행동적 측정을 사용한 첫 번째 연구로서 의미를 가지며 뇌의 반응성 측정 지표를 통해 ASD 아동과 TD 아동 간의 주의력 차이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음악 치료 주의집중 프로토콜에 대한 초기 데이터는 선택 주의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지속적인 주의력과 주의집중 전환/제어 능력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지속적인 주의집중을 위한 효과 크기가 있었기 때문에 선택적 주의와 함께 향후 연구에서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표본 크기가 더 큰 향후 연구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구의 유의미함.
본 연구를 통해 음악 치료 중재는 주의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 결과 데이터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추세는 음악 치료가 선택적 주의력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는 음악을 기반으로 한 활동이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뇌 반응 측정을 통한 평가가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뇌 반응 측정을 사용하여 주의력 차이를 판별하는 데 유용함을 시사할 뿐만 아니라 뇌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음악 치료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주의력 개선에 대해 살펴보고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음악 치료중재는 ASD 아동에게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ASD 아동의 선택적 주의집중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주의 집중력 문제를 해결하는데 음악 치료 중재가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음악 치료 중재 활동은 주의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접근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연구와 많은 임상 실험을 통해 음악 치료 중재의 효과와 장점을 더욱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의미있는 연구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