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 Papers

단일 세션 음악치료 개입과 인지행동치료 개입이 성인 정신과 입원환자의 기분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2).

by Musictraces 2024. 5. 11.

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The Effects of Single-Session Music Therapy Interventions in Comparison with a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on Mood with Adult Psychiatric Inpatients in an Acute-Care Setting: A Quasi-Experimental Trial.'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단일 세션 음악치료 개입과 인지행동치료 개입이 성인 정신과 입원환자의 기분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Markovich, R., & Tatsumi, K. 이며, 학술지 Music Therapy Perspectives, 33(2), 118-127. (2015)에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

1) 3가지 중재그룹

둘째, 수용 음악 그룹(RMG)에서는 Gardstrom and Hiller(2010)에서 채택된 노래 토론 절차를 사용하였으며 치료사는 세션 전에 노래를 선택하여 치료적으로 유익한지 확인하고 각 클라이언트는 노래를 선택할 기회를 가지고 그룹 구성원들과 가사, 노래의 주제, 개인적인 경험 등에 대해 토론했다. 셋째, 인지 행동 치료 그룹(CBT)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요구에 따라 의사소통 스타일, 불안과 두려움, 현실적 사고와 비현실적인 생각, 유해한 사고 패턴 관리 방법, 기분 변화에 대한 신념과 행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이 연구는 준 무작위 할당 설계를 사용했는데, 이는 참가자들이 정신병동에 입원한 후 참석한 첫 번째 그룹을 기반으로 치료 그룹에 할당되었다. 이 연구는 그룹을 수행하는 치료사의 편견을 피하기 위해 연구 보조원이 참가자에게 제안하였다. 참가자들은 그들의 참여가 자발적이며 50분 치료 그룹에 참석하기 전에 연구 보조원에 의해 사전 테스트를 실시 하였으며 5명에서 10명의 클라이언트로 크기가 다양했다. 세션이 끝난 후 연구 조교는 참가자들로부터 사후 테스트를 배포하고 수집했다. 사후 테스트에는 자기보고형식의 개방형 설문지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ANAS를 기본 결과 측정 도구로 선택하였는데 그 이유는 심리측정 특성, 단순성 및 간결성의 측면에서 입증된 근거가 있기 때문이다. PANAS20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있으며 5점 척도로 자신의 감정 상태를 평가하는 자기보고형식의 설문지이다.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측정하는 10개 항목의 기분 하위 척도를 개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참가자들은 현재 각 항목에 대해 느낀 정도를 평가하도록 요청받았다. 또한 그룹 세션에서 가장 도움이 된 것과 가장 도움이 되지 않은 것과 관련된 두 가지 옵션 질문이 사후 테스트에서 추가로 시행되었다. 사후 설문지 분석에서는 치료 그룹에서 가장 도움이 되고 도움이 되지 않는 부분을 중점으로 조사하였다. AMG, RMG, CBT 그룹 참가자의 원점수와 비교하여 정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보충 설문지를 추가로 활용하여 연구원은 참가자들의 주관적 경험을 포함한 질적 구성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개입 사이의 기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해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