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본 연구의 제목은 'The effect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RAS) on gait characteristics of cadence, velocity, and stride length in persons with late stage Dementia.' 이며 한글로 번역한 제목은 '고령기 치매 환자의 보행 특성인 보행 속도, 걸음 거리 및 보행 주기에 리듬적 청각 자극(RAS)이 미치는 영향 ' 이다.
저자 및 발행.
본 논문의 저자는 Clair, A. A., & O'Konski, M.이며, 학술지 Journal of Music Therapy, 43(2), 154-163. (2006)에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
1) 참가자
본 연구는 중서부에 있는 두 개의 장기 요양 시설에서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참가자는 70-92세 말기 치매 진단을 받은 28명(남4명, 여24명)의 환자이다. 기능적 독립 측정(FIM)을 사용하여 말기 치매 진단과 운동 등급에 따라 선정하였다. 50피트 이하의 거리를 걸을 때 1명 또는 2명의 도움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FIM 등급이 1 또는 2인 거주자를 포함시켰다.
2) 절차
본 연구는 각 참가자의 정기적인 보행 프로그램에 포함되었으며 세션은 일주일에 두 번 일정한 시간에 진행되었으며 각 세션 동안 참가자들은 (a)리드미컬한 비트(리듬적 자극)가 있는 음악 (b)음악 없이 전자 메트로놈 비트만 제공되는 리듬적 자극 (c)어떠한 청각 자극도 제공되지 않는 상태 이렇게 세 가지 조건 중 하나에서 보행하였다. 각 조건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총 9회에 걸쳐 세 번 반복되었다. (a)세션 1, 4, 7의 리드미컬한 음악 제공, (b)세션 2, 5, 8의 메트로놈 비트 제공 (c)세션 3, 6, 9에 대한 청각 자극 제공되지 않음 조건의 절차를 사용하였다. 연구자가 걷는 속도를 기록하는 동안 참가자가 평소 경로를 두 번에 걸쳐 걷도록 하여 10m 거리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차량 통행량이 거의 없는 복도에 12m 도보 거리로 표시하였고 기본 세션을 기반으로 각 개인에 대해 적절한 케이던스(분당 박동수)가 결정되었다. 음악과 메트로놈 비트는 케이던스와 일치하도록 녹음되어 개별 콤팩트 디스크에 저장하였다. 세션 동안 휴대용 붐 박스를 사용하여 도보 경로의 6미터에서 적절한 녹음이 재생되었다. 볼륨은 개인의 취향에 맞게 조절하거나 편안한 수준으로 설정되었다.